본문 바로가기
2008.01.05 00:30

호박고지

조회 수 9121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호박고지

햇볕이 따사로운 철이면 어머니의 손길이 바빠진다. 겨울에 먹을 마른 음식과 밑반찬 준비 때문이다. 겨우내 먹을 밑반찬으로 고추도 말려야 하고, 깻잎도 절여야 하고, 또 호박과 가지와 무를 얇게 썰어 햇볕에 말려두어야 한다. 무와 가지를 말린 것을 표준어로는 ‘무말랭이’, ‘가지말랭이’라고 하고, 호박을 말린 것은 ‘호박고지, 호박오가리’라고 한다.

‘오가리’는 ‘오글다, 오그라지다’와 관련된 낱말로, 고장에 따라 ‘우거리, 우가리, 와가리, 왁다리’로 발음한다. ‘고지’는 ‘고지, 꼬지’로 많이 쓰고, ‘고지’에 접미사 ‘-아기, -앙이’가 연결되어 만들어진 ‘고재기, 꼬쟁이’의 형태도 보인다. ‘오가리’와 ‘고지’가 뜻이 비슷한 까닭에 두 말이 섞이면서 ‘우거지, 고자리’의 형태로도 쓰인다. 제주도에서는 ‘말랭이’를 많이 쓴다. 지역에 따라서 ‘꼬시래기, 속씨래기, 쪼가리’로 쓰는 경우도 있다.

무말랭이는 양념을 해서 반찬을 만들면 졸깃한 느낌 덕분에 마치 고기를 씹는 듯하다. 가지말랭이나 호박고지는 겨울철 반찬이 마땅치 않을 때, 나물을 무치거나 탕을 하면 그 맛이 일품이다. 특히 이렇게 말려 놓은 무말랭이나 호박고지 등은 정월 보름날에 나물로 많이 쓴다. 가을철, 따사로운 햇볕을 그냥 보내기 아깝다. 애호박을 얇게 썰고 가지를 길게 썰어, 채반에 널어서 말리는 풍경이 그립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64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08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058
3392 '매우''아주''몹시' 바람의종 2008.05.01 7737
3391 '명문'이라는 이름 / 가족의 의미 風文 2020.07.16 2429
3390 '미망인'이란 말 風文 2021.09.10 805
3389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240
3388 '밖에'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7.16 10931
3387 '밖에'의 띄어쓰기 風文 2023.11.22 1201
3386 '받다'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18 25483
3385 '붓'의 어원 風文 2023.08.18 1573
3384 '사과'의 참뜻 / 사람의 짓 風文 2020.07.14 2033
3383 '상(上)' 띄어쓰기 바람의종 2012.06.13 10213
3382 '숫'을 쓰는 동물 바람의종 2012.09.25 10003
3381 '식해(食)'와 '식혜(食醯)' 바람의종 2009.02.22 7569
3380 '아' 다르고 '어' 다르다 바람의종 2008.04.22 9787
3379 '여부' 의 사용을 줄이자(上) 바람의종 2008.06.21 6806
3378 '여부' 의 사용을 줄이자(下) 바람의종 2008.06.23 5948
3377 '여부' 의 사용을 줄이자(中) 바람의종 2008.06.22 5491
3376 '연륙교'의 발음은? 바람의종 2012.01.06 10736
3375 '우레'가 운다 바람의종 2008.05.25 7799
3374 '이' '히' 거참 헷갈리네 바람의종 2008.07.03 7021
3373 '이/가' '을/를' 바람의종 2009.03.27 5561
3372 '자처'와 '자청' 바람의종 2011.05.01 9107
3371 '작'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10.01 1055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