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03 19:01

움과 싹

조회 수 8566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움과 싹

가을이 오니 메와 들에 푸나무들이 겨울맞이에 바쁘다. 봄부터 키워 온 씨와 열매를 떨어뜨리고 뿌리와 몸통에다 힘을 갈무리하느라 안간힘을 다한다. 그런 틈바구니에서 봄여름 쉬지 않고 일한 잎은 제 몫을 마쳐 기꺼이 시들어 떨어지고, 덕분에 사람들은 푸짐한 먹이를 얻고 아름다운 단풍 구경에 마냥 즐겁다. 머지않아 겨울이 오면 풀은 땅속에서 뿌리만으로, 나무는 땅위에서 꾀벗은 몸통으로 추위와 싸우며 봄이 오기를 기다린다. 봄이 오면 푸나무는 또다시 ‘움’을 틔우고 ‘싹’을 낸다.

‘움’은 무엇이며 ‘싹’은 무엇인가? 〈표준국어대사전〉은 ‘싹’을 “씨, 줄기, 뿌리 따위에서 처음 돋아나는 어린 잎이나 줄기”라 하고, ‘움’은 “풀이나 나무에 새로 돋아나오는 싹”이라 했다. 둘이 같은 것을 뜻한다는 풀이다. 그러나 ‘움’과 ‘싹’은 말처럼 뜻도 다르다. 다만 둘이 동떨어진 것이 아니라 비슷해서 마음을 꼼꼼히 지니고 살지 않으면 가려내기 어려울 뿐이다. ‘움’이 자라 ‘싹’이 된다.

푸나무의 목숨이 처음 나타날 적에는 씨앗이거나 뿌리거나 줄기거나 ‘눈’에서 비롯한다. 씨앗이나 뿌리나 줄기의 ‘눈’에서 새로운 목숨이 나타나는 첫걸음이 ‘움’이다. ‘움’은 껍질이나 땅을 밀고 나오면서 미처 햇빛을 받지 못해서 빛깔이 하얗고 모습도 제대로 갖추지 못한다. 희누런 ‘움’이 터져 나와 자라면 햇빛을 받아 빛깔이 푸르게 바뀌고 모습을 갖추면서 ‘싹’이 된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58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08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999
3348 어떤 청탁, ‘공정’의 언어학 風文 2022.09.21 1063
3347 소통과 삐딱함 風文 2021.10.30 1064
3346 왜 벌써 절망합니까 - 벤처대부는 나의 소망 風文 2022.05.26 1066
3345 경평 축구, 말과 동작 風文 2022.06.01 1066
3344 뒷담화 보도, 교각살우 風文 2022.06.27 1066
3343 언어적 도발, 겨레말큰사전 風文 2022.06.28 1069
3342 '-시키다’ 風文 2023.12.22 1069
3341 내일러 風文 2024.01.03 1071
3340 인과와 편향, 같잖다 風文 2022.10.10 1072
3339 개헌을 한다면 風文 2021.10.31 1073
3338 고백하는 국가, 말하기의 순서 風文 2022.08.05 1074
3337 물타기 어휘, 개념 경쟁 風文 2022.06.26 1075
3336 마그나 카르타 風文 2022.05.10 1076
3335 연말용 상투어 風文 2022.01.25 1079
3334 ‘짝퉁’ 시인 되기, ‘짝퉁’ 철학자 되기 風文 2022.07.16 1079
3333 동무 생각, 마실 외교 風文 2022.06.14 1086
3332 시간에 쫓기다, 차별금지법과 말 風文 2022.09.05 1086
3331 영어의 힘 風文 2022.05.12 1088
3330 내연녀와 동거인 風文 2023.04.19 1089
3329 쓰봉 風文 2023.11.16 1089
3328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090
3327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09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