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02 16:58

드라비다말

조회 수 6912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드라비다말

인도말에 대해 좀더 살펴보자. 인도말은 대부분 인도유럽어족에 들지만, 남부 인도에 널리 퍼져서 쓰이는 말들은 드라비다어족에 든다. 이 말겨레는 남부 인도와 스리랑카 쪽에서 많이 쓰며, 파키스탄에서도 쓰이는데, 사용 인구는 모두 1억4천만 정도다. 대표적인 말은 기원전부터 오랜 전통과 문학을 간직한 타밀말이다. 그런데 북부 인도에서도 드라비다말 쓰임이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기원전 이천년쯤 인도유럽말이 인도에 들어올 당시 인도에 가장 널리 퍼져 쓰이던 말이 바로 드라비다말이었을지도 모른다.

드라비다말의 명사는 단수·복수를 표시하며, 대명사는 남성·여성·중성으로 나뉜다. 알타이말·우랄말처럼 교착어에 해당하고, 문장도 주어-목적어-서술어 차례로 짜인다. 그래서 알타이말과 드라비다말이 같은 계통이 아닐까 생각하는 학자들도 있다. 20세기 초 헐버트라는 학자는 우리말과 드라비다말 몇 가지와 문법을 비교한 적이 있다. [kuvi]와 ‘구멍’, [kwi]와 ‘귀’, ‘집’을 뜻하는 [kudi]와 ‘구들’이 그런 보기다. 긍정적인 대답을 뜻하는 [am]과 우리말의 ‘암, 그렇고말고’ 등을 견주기도 했고, [pen](여자)과 ‘여펜네’를 견줬으나 신빙성이 거의 없다.

요즘도 우리말과 드라비다말의 계통 관련성을 주장하는 사람이 더러 있다. 그러나 그저 몇몇 낱말이나 문법 구조가 비슷하다고 해서 계통이 같다고 주장하는 것은 언어학적으로 매우 위험한 일이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27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80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786
3348 사투리 쓰는 왕자 / 얽히고설키다 風文 2023.06.27 1380
3347 우리나라 風文 2023.06.21 1559
3346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312
3345 ‘-데’와 ‘-대’, 정확한 표현 風文 2023.06.17 1618
3344 ‘파바’와 ‘롯리’ 風文 2023.06.16 1283
3343 말 많은 거짓말쟁이 챗GPT, 침묵의 의미를 알까 風文 2023.06.14 1566
3342 망신 風文 2023.06.09 1615
3341 이 자리를 빌려 風文 2023.06.06 1515
3340 ‘부끄부끄’ ‘쓰담쓰담’ 風文 2023.06.02 1375
3339 김 여사 風文 2023.05.31 1251
3338 프로듀사 風文 2023.05.30 1677
3337 예민한 ‘분’ 風文 2023.05.29 1236
3336 아이 위시 아파트 風文 2023.05.28 1493
3335 도긴개긴 風文 2023.05.27 1325
3334 ‘이’와 ‘히’ 風文 2023.05.26 1300
3333 두꺼운 다리, 얇은 허리 風文 2023.05.24 1323
3332 단골 風文 2023.05.22 1462
3331 대통령과 책방 風文 2023.05.12 1290
3330 돼지껍데기 風文 2023.04.28 1340
3329 용찬 샘, 용찬 씨 風文 2023.04.26 1230
3328 개양귀비 風文 2023.04.25 1446
3327 너무 風文 2023.04.24 146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