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7129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토족말 지킴이 챙고츠

사라져가는 자기 말을 지키려는 두 젊은이를 소개한다. 토족말을 쓰는 챙고츠 양과 만주말을 지키는 스쥔광 군이다. 자기 겨레의 다른 젊은이와는 사뭇 다르게 지극한 모어 사랑을 바탕으로 사라져가는 자기말을 지키려는 이들의 마음은 말 조사 때 만난 글쓴이의 가슴을 뭉클하게 한다.

챙고츠 양은 나이 스물셋인 토족(스스로는 ‘도르까’라 부른다) 젊은이다. 토족은 중국 칭하이성(청해성) 시닝시 근처에 사는 소수민족이다. 이곳 젊은이들 대부분은 중국말과 티베트말을 쓰며, 마을의 나이든 분들과는 달리 토족말(몽골어파에 드는 말인데, 그들은 ‘도르깨’라 한다)은 거의 모른다. 챙고츠 역시 대학을 졸업할 때까지 중국말·티베트말로 배웠고, 일상생활에서 이 두 말을 유창하게 쓴다.

글쓴이는 짓궂은 질문으로 비칠까 두려워 챙고츠에게 조심스레 물었다. “중국말과 티베트말로 모든 생활을 할 수 있는데 왜 토족어를 그토록 애정을 가지고 쓰려고 하는가요?” 대답은 짧고 단호했다. “우리 겨레의 독특한 말이니까요.” “친구들은 어떤가요?” “우리말 하기를 꺼려요.” “친구들을 설득해 볼 생각은 없는가요?” “해도 소용이 없어요. 친구들은 전혀 관심이 없어요.”

이렇게 가다가는 자기 또래들이 나이 들게 되면 자기네 말이 저절로 사라질까 봐 걱정이란다. 그래서 골똘히 생각한다. 자기네 말을 널리 퍼뜨릴 좋은 방법이 없을까? 글자를 만들면 말을 더 잘 지킬 수 있을까?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33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92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765
3150 한소끔과 한 움큼 風文 2023.12.28 1579
3149 오염된 소통 風文 2022.01.12 1580
3148 질문들, 정재환님께 답함 風文 2022.09.14 1581
3147 ‘부끄부끄’ ‘쓰담쓰담’ 風文 2023.06.02 1581
3146 노랗다와 달다, 없다 風文 2022.07.29 1582
3145 방언의 힘 風文 2021.11.02 1583
3144 말다듬기 위원회 / 불통 風文 2020.05.22 1584
3143 웰다잉 -> 품위사 風文 2023.09.02 1586
3142 ‘시끄러워!’, 직연 風文 2022.10.25 1589
3141 ‘웃기고 있네’와 ‘웃기고 자빠졌네’, ‘-도’와 나머지 風文 2022.12.06 1591
3140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591
3139 배운 게 도둑질 / 부정문의 논리 風文 2023.10.18 1592
3138 국가 사전 폐기론, 고유한 일반명사 風文 2022.09.03 1593
3137 성인의 세계 風文 2022.05.10 1600
3136 개양귀비 風文 2023.04.25 1604
3135 '마징가 Z'와 'DMZ' 風文 2023.11.25 1606
3134 ‘~면서’, 정치와 은유(1): 전쟁 風文 2022.10.12 1617
3133 어쩌다 보니 風文 2023.04.14 1617
3132 아이 위시 아파트 風文 2023.05.28 1618
3131 기림비 2 / 오른쪽 風文 2020.06.02 1619
3130 국가의 목소리 風文 2023.02.06 1622
3129 위탁모, 땅거미 風文 2020.05.07 162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