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04 16:44

야단벼락/혼벼락

조회 수 8231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야단벼락/혼벼락


‘벼락’이란 자연현상 말고도 심한 꾸지람이나 나무람을 비유적으로 일컫거나 매우 갑자기 이루어지는 것을 비유하기도 한다. 이런 뜻의 ‘벼락’은 다른 말과 어울려 새말을 만들기도 하는데, ‘감벼락, 날벼락(생벼락), 돈벼락, 돌벼락, 마른벼락, 물벼락, 불벼락, 산벼락(호되게 당하는 재난을 이르는 말), 앉은벼락, 칼벼락’ 등이 그것이다. 여러 벼락 가운데 아직 사전에 오르지 않은 말로 ‘야단벼락’과 ‘혼벼락’이 있다.

“아내의 버릇없는 말에 사내가 곧 한바탕 야단벼락을 내리고 싶었으나 ….”(홍명희, 〈임꺽정〉) “까딱 잘못해서 모시옷에 얼이라도 가면 야단벼락이 떨어지고 ….”(박경리, 〈파시1〉) “그렇게 혼벼락 맞고도 언감생심 덤벼들겠습니까?”(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네놈이 살아남는다면 혼벼락을 내어줄 테니.”(박경리, 〈토지〉) “바로 이때 녀석의 아버지가 혼벼락을 내주려고 몽둥이를 거머잡고 연기 나는 써까래 사이로 들이닥쳐 …”(한상렬, 〈문장표현의 기법〉)

‘야단벼락’은 “눈물 쏙 빠지게 벼락야단을 맞지 않았겠습니까”처럼 앞뒤를 바꿔 쓰기도 하는데, 뜻은 ‘갑작스레 소리 높여 하는 아주 심한 꾸지람이나 나무람’을, ‘혼벼락’은 ‘혼이 빠질 정도로 심한 꾸지람이나 나무람’의 뜻을 나타낸다. 줄기찬 장맛비로 온나라가 물난리를 겪는다. 막개발로 사람손을 많이 탄 지역에 수해가 심각했다. 하늘의 야단벼락, 혼벼락인 듯싶다.

한용운/겨레말큰사전 편찬부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24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74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691
3414 “영수증 받으실게요” 風文 2024.01.16 1469
3413 ‘도와센터’ ‘몰던카’ 風文 2024.01.16 1457
3412 ‘거칠은 들판’ ‘낯설은 타향’ 風文 2024.01.09 1498
3411 헷갈리는 맞춤법 風文 2024.01.09 1596
3410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237
3409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252
3408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182
3407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221
3406 있다가, 이따가 風文 2024.01.03 1271
3405 내일러 風文 2024.01.03 1139
3404 아주버님, 처남댁 風文 2024.01.02 1084
3403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121
3402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205
3401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風文 2023.12.30 1089
3400 뒤치다꺼리 風文 2023.12.29 1189
3399 ‘~스런’ 風文 2023.12.29 1225
3398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141
3397 한소끔과 한 움큼 風文 2023.12.28 1273
3396 '-시키다’ 風文 2023.12.22 1142
3395 여보세요? 風文 2023.12.22 1007
3394 장녀, 외딸, 고명딸 風文 2023.12.21 1091
3393 어떤 반성문 風文 2023.12.20 100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