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0.26 14:48

맨정신/맨흙

조회 수 8183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맨정신/맨흙

‘맨’에는 세 가지 유형이 있다. ‘맨 꼭대기’, ‘맨 처음’처럼 명사를 꾸미는 구실, ‘이 방에는 맨 책뿐이다’, ‘동생은 맨 놀기만 한다’처럼 서술어를 꾸미는 구실이 있고, ‘맨땅·맨발·맨밥·맨주먹’처럼 몇몇 명사 앞에 붙어 새 낱말을 만드는 구실이 있다. 관형사 ‘맨’은 ‘가장·제일’의 뜻으로 쓰이고, 부사 ‘맨’은 ‘온통·모두 다’의 뜻으로 쓰인다. 앞가지(접두사) ‘맨’은 ‘다른 것이 없는’, ‘다른 것이 섞이지 않은’의 뜻으로 쓰인다. 관형사와 부사로 쓰이는 ‘맨’은 뒤에 오는 낱말과 띄어 써야 하고, 앞가지로 쓰이는 ‘맨’은 뒤에 오는 낱말과 붙여 써야 한다. 앞가지 ‘맨’이 결합된 말 가운데 사전에 오르지 않은 낱말로 ‘맨정신’, ‘맨흙’이 있다. 맨흙과 비슷한 말로는 맨땅이 있다. “그건 술주정이 아니었어요. 맨정신으론 말할 수가 없어 잠시 술힘을 빌었을 뿐이에요.”(홍성원 〈육이오〉) “그 웃음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웃음 뒤에 나타난 것은 맨정신의 얼굴이 아니었다.”(박경리 〈토지〉) “아스팔트가 끝난 길가 맨흙 위에 패어나간 타이어 자국이 남아 있었다.”(이원규 〈훈장과 굴레〉)

 ‘맨정신’은 ‘맑은 정신’, ‘맨흙’은 ‘다른 게 섞이거나 깔지 않은 흙’이다. 앞가지에는 ‘맨’ 말고도 ‘군’(군걱정·군불 …)’, ‘날’(날강도·날김치 …), ‘덧’(덧니·덧쓰다 …) 따위가 있는데, 큰사전들에는 200개 안팎이 수록돼 있다.  

한용운/겨레말큰사전 편찬부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62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18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089
3436 ‘-land’ 가 붙는 지명 표기 바람의종 2010.06.01 12059
3435 ‘감투’와 ‘망탕’ 바람의종 2010.03.23 16005
3434 ‘뜨더국’과 ‘마치다’ 바람의종 2010.04.02 16104
3433 단어를 쪼개지 말자 바람의종 2012.05.02 11173
3432 "-읍니다""-습니다" 바람의종 2008.05.03 8701
3431 "~대" 와 "~데" 바람의종 2008.05.13 10223
3430 "~들"의 남용 바람의종 2009.02.22 8002
3429 "~주다"는 동사 뒤에만 온다 바람의종 2009.07.25 12520
3428 "~하에" 바람의종 2009.10.07 13308
3427 "가지다"를 버리자 바람의종 2008.07.31 9983
3426 "가지다"를 버리자 2 바람의종 2008.08.03 10091
3425 "드리다"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01 18606
3424 "못"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3.25 16605
3423 "빠르다"와 "이르다" 바람의종 2008.04.02 9298
3422 "뿐"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1.03 9295
3421 "있다, 없다"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7.13 12660
3420 "잘"과 "못"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8.27 23905
3419 "정한수" 떠놓고… 1 바람의종 2008.04.01 13448
3418 "차"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06 12259
3417 % 포인트 바람의종 2012.06.11 9424
3416 돟습니다레! 바람의종 2008.09.27 6674
3415 믜운이 바람의종 2009.02.07 901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