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0.13 06:02

‘우거지붙이’ 말

조회 수 10733 추천 수 1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거지붙이’ 말

‘푸성귀를 다듬을 때에 골라 놓은 겉대’를 ‘우거지’라고 한다. 먹을 게 넘치는 요즘은 무나 배추의 우거지를 버리기도 하지만, 먹을거리가 모자라던 시절에는 더없이 좋은 식료품이었다.

“긴 긴 겨울, 굶기를 밥 먹듯 하며 우거지국으로 가까스로 연명을 해 온 그들이었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어느 곳이나 식량 사정은 딱해. 우리 절에서도 쌀 몇 알을 넣은 우거지죽을 끓여 먹는 형편이니까.”(이병주, 〈지리산〉)
“우거지찌개하고 신김치만 있으면 밥이 마냥 꿀맛 같은 대식가였고 ….”(박완서, 〈지 알고 내 알고 하늘이 알건만〉)

이 ‘우거지’가 ‘국·찌개’를 끓이거나 ‘죽’을 쑤는 재료로 쓰이면서 ‘우거짓국’, ‘우거지찌개’, ‘우거지탕’, ‘우거지죽’이란 이름이 생겼는데, 국어사전에는 ‘우거지김치’ 정도만 올랐고 다른 음식 이름은 보이지 않는다.

음식 재료는 대개 ‘국·탕·찌개·볶음’ 등의 재료가 되므로 관련된 말을 죄다 챙겨서 올리기는 어렵다. 그러나 ‘스파게티’나 ‘비프스테이크’ 같은 여러 외래 음식도 국어사전에 올리는 판에 ‘우거짓국, 우거지탕, 우거지죽, 우거지찌개, 우거지부침’ 같은 우리 일상 생활과 관련이 깊고, 많이 쓰이는 낱말들을 사전에 챙겨 올리지 않는 것은 문제다. 비슷한 말인 ‘시래기’의 경우, ‘시래깃국, 시래기나물, 시래기떡, 시래기죽, 시래기지짐이, 시래기찌개’들이 사전에 수록돼 있다.

한용운/겨레말큰사전 편찬부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74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34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202
224 ‘팜므파말’ 바람의종 2011.12.22 13404
223 ‘파바’와 ‘롯리’ 風文 2023.06.16 1608
222 ‘통장을 부르다’와 ‘시끄럽다’ 바람의종 2010.04.30 12257
221 ‘통일’의 반대말 風文 2023.01.16 1884
220 ‘첫날밤이요’ 바람의종 2010.02.21 9734
219 ‘첫 참석’ 바람의종 2009.11.09 9027
218 ‘쫓다’와 ‘쫒다’ 風文 2023.07.01 2263
217 ‘짝퉁’ 시인 되기, ‘짝퉁’ 철학자 되기 風文 2022.07.16 1387
216 ‘직하다’와 ‘-ㅁ/음직하다’ 바람의종 2010.03.26 13188
215 ‘자꾸’와 ‘지퍼’ 바람의종 2008.12.18 8185
214 ‘이다’‘아니다’와만 결합하는 ‘-에요’ 바람의종 2010.01.09 6946
213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583
212 ‘이’와 ‘히’ 風文 2023.05.26 1585
211 ‘으’의 탈락 바람의종 2010.06.19 11109
210 ‘웃기고 있네’와 ‘웃기고 자빠졌네’, ‘-도’와 나머지 風文 2022.12.06 1647
» ‘우거지붙이’ 말 바람의종 2007.10.13 10733
208 ‘요새’와 ‘금세’ 風文 2024.02.18 1971
207 ‘외국어’라는 외부, ‘영어’라는 내부 風文 2022.11.28 1763
206 ‘오빠 부대’ 바람의종 2008.01.07 7668
205 ‘엘씨디로’ / 각출-갹출 風文 2020.05.06 2152
204 ‘앗다’와 ‘호함지다’ 바람의종 2010.04.18 14269
203 ‘앗다’ 쓰임 바람의종 2008.06.19 695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