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02.17 21:30

내 청춘에게?

조회 수 205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내 청춘에게?

나는 매주 한 번 이상 영화관에 가서 영화를 본다. 그렇게 본 영화에는 독립영화 ‘내 청춘에게 고함’(2006)도 있다. 그런데 영화 제목을 처음 접하자마자 아주 부자연스럽다고 느꼈다. ‘청춘에게’의 ‘에게’ 때문이다.

우리말에서 ‘에게’는 “사람들에게 소식을 알리다” “개에게 먹이를 주다” 등처럼 사람이나 동물을 나타내는 말 뒤에 붙는 격 조사이다. “본부에 상황을 알리다” “나는 꽃에 물을 주었다” 등처럼 식물이나 무생물을 나타내는 체언 뒤에는 ‘에게’ 대신 ‘에’가 붙는다. 체언의 의미에 따라 ‘에게’와 ‘에’를 구분해 쓰는 것이다. 물론 동시나 동화에서 식물이나 무생물을 의인화한 경우 “나무에게 말하다”처럼 식물이나 무생물이라도 ‘에게’를 쓸 수 있다.

그런데 영화 ‘내 청춘에게 고함’에서 ‘청춘’은 ‘십 대 후반에서 이십 대에 걸치는 인생의 젊은 나이 또는 그런 시절’을 이르는 말로서 무생물이다. 무생물인 ‘청춘’을 의인화한 것으로 볼 수도 없다. 따라서 ‘청춘’ 뒤에는 ‘에게’가 아닌 ‘에’를 써야 한다.

한편 그 의미가 쉽게 파악되지 않는 몇몇 체언이 있어 주의를 요한다. “○○ 세대에/에게 바치다”의 ‘세대’가 바로 그것이다. 이로 인해 ‘세대’ 뒤에 ‘에게’를 써야 할지 ‘에’를 써야 할지 헷갈릴 수 있다. ‘세대’는 ‘어린아이가 성장하여 부모 일을 계승할 때까지의 약 30년 정도 되는 기간’(무생물)과 ‘같은 시대에 살면서 공통의 의식을 가지는 비슷한 연령층의 사람 전체’(사람)의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세대’ 뒤에는 그 의미에 따라 ‘에’를 쓸 수도 있고 ‘에게’를 쓸 수도 있다. ‘계급’이나 ‘계층’도 그런 체언에 해당한다.

박용찬 대구대 국어교육과 부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87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46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191
92 깻잎 / 기림비 1 風文 2020.06.01 1487
91 조의금 봉투 風文 2023.11.15 1486
90 날아다니는 돼지, 한글날 몽상 風文 2022.07.26 1485
89 북혐 프레임, 인사시키기 風文 2022.05.30 1483
88 모호하다 / 금쪽이 風文 2023.10.11 1478
87 개헌을 한다면 風文 2021.10.31 1473
86 몰래 요동치는 말 風文 2023.11.22 1473
85 말과 서열, 세대차와 언어감각 風文 2022.06.21 1466
84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내일을 향해 모험하라 風文 2022.05.12 1465
83 노동과 근로, 유행어와 신조어 風文 2022.07.12 1464
82 이중피동의 쓸모 風文 2023.11.10 1462
81 국물도 없다, 그림책 읽어 주자 風文 2022.08.22 1459
80 사람, 동물, 언어 / 언어와 인권 風文 2022.07.13 1457
79 쓰봉 風文 2023.11.16 1455
78 권력의 용어 風文 2022.02.10 1453
77 언어의 혁신 風文 2021.10.14 1451
76 올바른 명칭 風文 2022.01.09 1451
75 댕댕이, 코로나는 여성? 風文 2022.10.07 1449
74 경텃절몽구리아들 / 모이 風文 2020.05.24 1447
73 선정-지정 / 얼룩빼기 황소 風文 2020.05.15 1446
72 내연녀와 동거인 風文 2023.04.19 1446
71 외교관과 외국어, 백두산 전설 風文 2022.06.23 144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