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14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고세’와 ‘푸르지오’

우리 집 근처엔 ‘이고세’라는 음식점과 ‘푸르지오’라는 아파트가 있다. 이들은 각각 상호와 상품명에 우리말을 활용한 것으로서 아주 특기할 만하다. 그러나 둘 다 약간의 문제를 안고 있다.

먼저 ‘이고세’는 ‘이 곳에’를 그냥 소리 나는 대로 적은 것을 상호로 쓴 것이다. 최근 인터넷 공간에서 우리말을 한글 맞춤법에 따르지 않고 그냥 소리 나는 대로 적는 것과 유사하다. 그런데 그 둘 간에는 출발 지점이 완전히 다르다. 인터넷 공간에서는 빠르게 적기 위해서 그런 데 반해, ‘이고세’는 외국어처럼 보이도록 하기 위해 그런 것이기 때문이다. 견과류 관련 상품을 제조, 판매하는 ‘머거본’이라는 상호도 마찬가지이다. 외국어처럼 보이도록 하기 위해 ‘먹어 본’을 그냥 소리 나는 대로 적은 ‘머거본’을 그 상호로 쓴 것이다.

다음으로 ‘푸르지오’는 한글 표기상으론 별 문제가 없다. 그러나 ‘푸르지오’의 영문 표기가 ‘Prugio’라는 사실을 고려할 때 이 또한 얼마간 문제가 있다. ‘푸르지오’가 우리말의 형용사 ‘푸르-’를 활용한 것이라면 그 영문 표기는 ‘Pureujio’가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Pureujio’라 하지 않고 ‘Prugio’라 한 것은 군말할 필요도 없이 외국어처럼 보이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상호, 상품명 등에 우리말을 활용하는 것은 크게 환영 받을 만한 일이다. 현재보다 훨씬 더 우리말을 활용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현재 상호, 상품명 등의 대부분이 외국어로 도배돼 있다시피 하기 때문이다. ‘이고세’, ‘푸르지오’ 등은 아주 고무적인 현상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이들 또한 외국어로 가장되어야만 하는 현실이 씁쓸하다.

박용찬 대구대 국어교육과 부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06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60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598
48 상석 風文 2023.12.05 1076
47 드라이브 스루 風文 2023.12.05 1257
46 '넓다'와 '밟다' 風文 2023.12.06 1252
45 가짜와 인공 風文 2023.12.18 1007
44 어떤 반성문 風文 2023.12.20 917
43 장녀, 외딸, 고명딸 風文 2023.12.21 1003
42 여보세요? 風文 2023.12.22 937
41 '-시키다’ 風文 2023.12.22 1055
40 한소끔과 한 움큼 風文 2023.12.28 1186
39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080
38 ‘~스런’ 風文 2023.12.29 1123
37 뒤치다꺼리 風文 2023.12.29 1108
36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風文 2023.12.30 1017
»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141
34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069
33 아주버님, 처남댁 風文 2024.01.02 1007
32 내일러 風文 2024.01.03 1056
31 있다가, 이따가 風文 2024.01.03 1196
30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152
29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155
28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204
27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15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