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1.22 10:26

'밖에'의 띄어쓰기

조회 수 128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밖에'의 띄어쓰기

주말 저녁, 외국의 어느 섬마을 사람들의 이야기를 TV로 보고 있었다. 한 소녀가 뭐라고 말을 하자 ‘돈을 벌 수 있는 사람이 저 밖에 없어요.’라는 자막이 나타났다. 얼른 이해하기가 어려웠다. 돈을 벌 수 있는 사람이 ‘저 밖에’ 없다면 ‘이 안에’ 있단 말인가?

물론 그런 뜻이 아니다. 병든 부모님 대신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소녀가 학교에도 못 가고 물질을 해야 하는 상황이 곧 펼쳐졌다. 그렇다면 ‘돈을 벌 수 있는 사람이 저밖에 없어요.’라고 해야 한다. 둘 사이에는 무슨 차이가 있을까. 띄어쓰기 차이다. ‘밖에’를 앞 말과 띄어 쓸 때와 붙여 쓸 때는 의미가 달라진다.

앞 말과 띄어 쓰는 ‘밖에’는 명사 ‘밖’에 조사 ‘에’가 결합된 것으로, 일정한 범위나 한계 바깥을 의미한다. 이 ‘밖에’는 ‘안에’의 반대말이므로 ‘창 밖에 비가 내린다’는 말은 ‘창 안쪽에는 비가 내리지 않는다’는 뜻이고 ‘문 밖에 누가 왔다’는 ‘문 안에는 아무도 오지 않았다’는 뜻이다. 이때 ‘밖’은 ‘안’과 마찬가지로 독립된 명사이므로 앞 말과 띄어 쓴다. 물론 다른 말이 앞에 나올 필요 없이 단독으로도 쓰인다. ‘밖에 오래 서 있었더니 몸이 얼어붙는 것 같다’가 그런 예이다.

이와 달리 항상 앞 말에 붙여 써야 하는 ‘밖에’는 ‘그것 말고는’의 뜻을 나타내는 조사다. 뒤에는 반드시 부정적 뜻을 지닌 말이 온다. ‘동생이 하나밖에 없다’든가 ‘돈밖에 모르는 구두쇠’처럼 쓴다. ‘동생이 하나밖에 있다’든가 ‘돈밖에 아는 구두쇠’ 같이 긍정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말과는 함께 어울리지 않는다.

위에 예로 든 TV 자막의 ‘밖에’는 ‘돈을 벌 수 있는 사람이 저밖에 있다’로 바꾸어서는 문장이 성립되지 않으므로 앞 말과 붙여 쓰는 조사임을 알 수 있다.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73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21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123
70 성적이 수치스럽다고? 風文 2023.11.10 1393
69 피동형을 즐기라 風文 2023.11.11 1211
68 귀 잡수시다? 風文 2023.11.11 1300
67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風文 2023.11.14 1303
66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329
65 조의금 봉투 風文 2023.11.15 1237
64 후텁지근한 風文 2023.11.15 1418
63 붓다 / 붇다 風文 2023.11.15 1288
62 저리다 / 절이다 風文 2023.11.15 1240
61 부사, 문득 風文 2023.11.16 1071
60 쓰봉 風文 2023.11.16 1149
59 까치발 風文 2023.11.20 1242
58 ‘가오’와 ‘간지’ 風文 2023.11.20 1270
57 주현씨가 말했다 風文 2023.11.21 1297
56 군색한, 궁색한 風文 2023.11.21 1148
55 몰래 요동치는 말 風文 2023.11.22 1140
» '밖에'의 띄어쓰기 風文 2023.11.22 1281
53 내색 風文 2023.11.24 1032
52 ‘개덥다’고? 風文 2023.11.24 1440
51 반동과 리액션 風文 2023.11.25 1266
50 '마징가 Z'와 'DMZ' 風文 2023.11.25 1388
49 흰 백일홍? 風文 2023.11.27 172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