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1.22 10:26

'밖에'의 띄어쓰기

조회 수 163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밖에'의 띄어쓰기

주말 저녁, 외국의 어느 섬마을 사람들의 이야기를 TV로 보고 있었다. 한 소녀가 뭐라고 말을 하자 ‘돈을 벌 수 있는 사람이 저 밖에 없어요.’라는 자막이 나타났다. 얼른 이해하기가 어려웠다. 돈을 벌 수 있는 사람이 ‘저 밖에’ 없다면 ‘이 안에’ 있단 말인가?

물론 그런 뜻이 아니다. 병든 부모님 대신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소녀가 학교에도 못 가고 물질을 해야 하는 상황이 곧 펼쳐졌다. 그렇다면 ‘돈을 벌 수 있는 사람이 저밖에 없어요.’라고 해야 한다. 둘 사이에는 무슨 차이가 있을까. 띄어쓰기 차이다. ‘밖에’를 앞 말과 띄어 쓸 때와 붙여 쓸 때는 의미가 달라진다.

앞 말과 띄어 쓰는 ‘밖에’는 명사 ‘밖’에 조사 ‘에’가 결합된 것으로, 일정한 범위나 한계 바깥을 의미한다. 이 ‘밖에’는 ‘안에’의 반대말이므로 ‘창 밖에 비가 내린다’는 말은 ‘창 안쪽에는 비가 내리지 않는다’는 뜻이고 ‘문 밖에 누가 왔다’는 ‘문 안에는 아무도 오지 않았다’는 뜻이다. 이때 ‘밖’은 ‘안’과 마찬가지로 독립된 명사이므로 앞 말과 띄어 쓴다. 물론 다른 말이 앞에 나올 필요 없이 단독으로도 쓰인다. ‘밖에 오래 서 있었더니 몸이 얼어붙는 것 같다’가 그런 예이다.

이와 달리 항상 앞 말에 붙여 써야 하는 ‘밖에’는 ‘그것 말고는’의 뜻을 나타내는 조사다. 뒤에는 반드시 부정적 뜻을 지닌 말이 온다. ‘동생이 하나밖에 없다’든가 ‘돈밖에 모르는 구두쇠’처럼 쓴다. ‘동생이 하나밖에 있다’든가 ‘돈밖에 아는 구두쇠’ 같이 긍정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말과는 함께 어울리지 않는다.

위에 예로 든 TV 자막의 ‘밖에’는 ‘돈을 벌 수 있는 사람이 저밖에 있다’로 바꾸어서는 문장이 성립되지 않으므로 앞 말과 붙여 쓰는 조사임을 알 수 있다.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89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51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165
3392 터키말과 튀르크어파 바람의종 2007.11.08 6964
3391 과대포장 바람의종 2007.11.08 7137
3390 싸우다와 다투다 바람의종 2007.11.09 7147
3389 운율 바람의종 2007.11.09 8412
3388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3833
3387 몽골말과 몽골어파 바람의종 2007.11.10 9859
3386 다방구 바람의종 2007.12.12 9136
3385 우리와 저희 바람의종 2007.12.12 8645
3384 부추? 바람의종 2007.12.13 6454
3383 뒷담화 바람의종 2007.12.13 7350
3382 말과 나라 바람의종 2007.12.14 6945
3381 꿍치다 바람의종 2007.12.14 9539
3380 옮김과 뒤침 바람의종 2007.12.15 8324
3379 다슬기 바람의종 2007.12.15 9001
3378 새말의 정착 바람의종 2007.12.16 7714
3377 토족말 지킴이 챙고츠 바람의종 2007.12.16 7397
3376 궁시렁궁시렁 바람의종 2007.12.17 7233
3375 가시버시 바람의종 2007.12.17 7822
3374 고구마 바람의종 2007.12.18 9018
3373 도우미 바람의종 2007.12.18 8397
3372 만주말 지킴이 스쥔광 바람의종 2007.12.20 7659
3371 개구지다 바람의종 2007.12.20 88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