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1.20 10:22

‘가오’와 ‘간지’

조회 수 127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가오’와 ‘간지’

최근 베테랑 형사와 안하무인이며 후안무치인 재벌 3세의 대결을 그린 액션 영화를 봤다. 그런데 영화 한 장면에서 형사가 ‘가오’란 말을 너무나 아무렇지 않게 써서 많은 관객을 웃겼다. ‘가오’는 일제강점기에 우리나라에 들여와 쓰이기 시작한 말로, 일본어 ‘가오(かおㆍ顔)’에서 유래한다. 광복 이후 이 말을 ‘얼굴’ 또는 ‘체면’으로 순화해 쓰도록 했고, 그 결과 공적인 언어 상황에서는 더 이상 쓰이지 않게 되었다.

그러나 사적인 언어 상황에서는 여전히 ‘가오’가 널리 쓰이고 있다. 주로 ‘가오(가) 서다’, ‘가오(를) 잡다’ 등의 형식으로 쓰인다. 이때의 ‘가오’는 ‘얼굴’ 또는 ‘체면’과 그 의미가 약간 다르다. 사람들 대부분은 이 말을 ‘허세’, ‘개폼’ 등의 의미에 더 가까운 비속어로 인식한다.

‘가오’처럼 사적인 언어 상황에서 널리 쓰이는 일본어로 ‘간지’를 하나 더 들 수 있다. ‘간지(かんじㆍ感じ)’ 또한 일제 강점기 때부터 쓰이기 시작한 일본어로, 광복 이후 ‘느낌’으로 순화해 쓰도록 했다. 그런데 최근 들어 방송이나 젊은이들 사이에서 ‘간지 스타일’, ‘간지 아이템’ 등이나 ‘간지(가) 나다’의 형식으로 ‘간지’가 부활(?)하여 등으로 무분별하게 쓰이고 있다. ‘간지’가 ‘느낌’보다 더 그럴듯한 의미를 갖는 말로 인식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일제강점기 때부터 쓰이기 시작한 일본어 잔재의 대부분은 현재 거의 쓰지 않게 되었다. 그러나 몇몇 일본어는 사적인 언어 상황에서 우리말로 둔갑하여 여전히 그 생명을 유지하고 있다. 널리 쓰이다 보니 우리말보다 더 친숙하게 여겨질 때도 있다. 광복절을 맞아 일상적으로 쓰는 말 가운데 일본어 잔재가 남아 있는 건 아닌지 한번 돌아보면 좋겠다.

박용찬 대구대 국어교육과 조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90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42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310
70 성적이 수치스럽다고? 風文 2023.11.10 1393
69 피동형을 즐기라 風文 2023.11.11 1216
68 귀 잡수시다? 風文 2023.11.11 1300
67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風文 2023.11.14 1303
66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329
65 조의금 봉투 風文 2023.11.15 1237
64 후텁지근한 風文 2023.11.15 1429
63 붓다 / 붇다 風文 2023.11.15 1288
62 저리다 / 절이다 風文 2023.11.15 1240
61 부사, 문득 風文 2023.11.16 1071
60 쓰봉 風文 2023.11.16 1149
59 까치발 風文 2023.11.20 1242
» ‘가오’와 ‘간지’ 風文 2023.11.20 1276
57 주현씨가 말했다 風文 2023.11.21 1297
56 군색한, 궁색한 風文 2023.11.21 1152
55 몰래 요동치는 말 風文 2023.11.22 1140
54 '밖에'의 띄어쓰기 風文 2023.11.22 1285
53 내색 風文 2023.11.24 1041
52 ‘개덥다’고? 風文 2023.11.24 1441
51 반동과 리액션 風文 2023.11.25 1266
50 '마징가 Z'와 'DMZ' 風文 2023.11.25 1396
49 흰 백일홍? 風文 2023.11.27 173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