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1.14 01:38

본정통(本町通)

조회 수 123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본정통(本町通)

광복하고 70년이지만 일제의 잔재가 지명 곳곳에 여전히 남아 있다는 방송 뉴스를 며칠 전 접했다. 서울의 현재 지명인 ‘낙원동’과 ‘계동’이 그것으로, 본래 ‘탑동’과 ‘계생동’으로 불리던 것이 일제에 의해 왜곡되었다는 것이다. 그러고 보니 1980년대 중반 내가 3년간 살았던 청주의 ‘본정통’도 그런 지명 가운데 하나이다.

‘본정통(本町通ㆍ혼마치도리)’은 일본 사람들이 일반적인 도로 명칭으로 널리 쓰는 것 가운데 하나이다. ‘본정(本町)’은 ‘한 도시의 중심이 되는 거리’를, ‘통(通)’은 ‘길’을 뜻한다. 즉 ‘본정통’은 ‘도시 중심가의 길’을 가리킨다. 일본에서는 지금도 ‘도시 중심가의 길’을 가리켜 ‘본정통’이라 한다. 오사카, 교토 등의 도시에서 ‘본정통’이라는 지명은 흔하게 볼 수 있다.

일제 강점기 때 서울, 부산, 청주, 군산 등의 도시에서 가장 번화한 거리를 가리켜 ‘본정통’이라 했다. 청주의 ‘본정통’은 본래 ‘성안길’이었는데, 일제에 의해 ‘본정통’으로 불리게 되었다. 그러다가 1990년대 지역 언론과 시민 단체의 노력으로 본래의 지명인 ‘성안길’로 복원되었다.

그럼에도 나와 같은 40대 이상의 사람들에게는 아직 ‘성안길’보다는 ‘본정통’이 더 자연스럽다. 어릴 적부터 줄곧 ‘본정통’으로 불러 왔고, 그곳에서 보낸 젊은 시절의 추억이 그 이름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가 되어 버렸기 때문이리라! 이처럼 지명 하나 바꾸어 쓰는 것조차 쉬운 일이 아니다. 일제 잔재가 우리의 언어생활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광복절을 맞아 우리의 아픈 과거가 반복되지 않기를, 그로 인해 우리의 언어생활이 또다시 왜곡되지 않기를 바라 본다.

박용찬 대구대 국어교육과 조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79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32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378
3238 교열의 힘, 말과 시대상 風文 2022.07.11 1189
3237 태극 전사들 風文 2022.01.29 1190
3236 우리와 외국인, 글자 즐기기 風文 2022.06.17 1190
3235 자백과 고백 風文 2022.01.12 1191
3234 이단, 공교롭다 風文 2022.08.07 1196
3233 구경꾼의 말 風文 2022.12.19 1196
3232 아니오 / 아니요 風文 2023.10.08 1196
3231 있다가, 이따가 風文 2024.01.03 1196
3230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197
3229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197
3228 반동과 리액션 風文 2023.11.25 1197
3227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198
3226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199
3225 붓다 / 붇다 風文 2023.11.15 1200
3224 예민한 ‘분’ 風文 2023.05.29 1201
3223 귀 잡수시다? 風文 2023.11.11 1202
3222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206
3221 배레나룻 風文 2024.02.18 1206
3220 어떤 문답 관리자 2022.01.31 1208
3219 떼려야 뗄 수 없는 인연 風文 2024.02.17 1209
3218 주현씨가 말했다 風文 2023.11.21 1212
3217 내 청춘에게? 風文 2024.02.17 12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