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05.30 09:42

프로듀사

조회 수 203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프로듀사

드라마 ‘프로듀사’를 보는 것은 주말 저녁의 큰 기쁨이었다. 김수현의 매력에도 푹 빠졌지만 방송을 하는 사람으로서 내 생활의 일부가 드라마로 나오는 것이 무척 신기했다. 익숙한 장소, 누구인지 대충 짐작이 가는 극중 배역, 아찔했던 방송 현장의 사고들. 그런데 왜 ‘프로듀서’가 아니고 ‘프로듀사’였을까?

방송의 연출, 제작을 책임지는 사람을 ‘프로듀서’라고 한다. ‘생산하다’는 뜻을 가진 동사 ‘produce’에 사람을 뜻하는 접미사 ‘-er’이 붙어서 만들어진 말이다. 그런데 ‘-er’대신에 직업을 나타내는 우리말 접미사 ‘-사(士)’를 붙여 ‘프로듀사’라는 신조어를 만들어낸 것이다. 제목을 살짝 비튼 데에는 프로듀서의 깊은 고민이 있었으리라.

흔히 끝에 ‘선비 사(士)’가 붙으면 직업을 나타내는 말이 된다. 변호사(辯護士), 건축사(建築士), 세무사(稅務士) 등이 그러하다. 그런데 판사(判事), 검사(檢事)의 ‘사’는 ‘일 사(事)’이다. 교사(敎師), 의사(醫師)는 ‘스승 사(師)’를 쓴다. 명확하게 어떤 기준인지는 밝히기가 어렵다. 자격증이나 면허증이 나오는 전문적인 직업에는 ‘-사(士)’가 붙는 경향이 있다. ‘변호’라는 말 뒤에 접미사 ‘사(士)’가 붙어 ‘변호사’가 만들어진 것이다. ‘판사’ ‘검사’도 전문직임에 틀림없으나 변호사와 같은 파생어가 아니라 ‘판사’ ‘검사’가 원어로 하여 쓰여 온 말이다. ‘의사’ ‘교사’ 도 마찬가지이다.

사실 아나운서들은 예전부터 스스로를 ‘언어운사(言語運士)’라 칭하며 말에 대한 책임을 강조해 왔다. ‘프로듀사’ 후속작 ‘아나운사’를 기대해 보며….

임수민 KBS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59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24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999
3238 순직 風文 2022.02.01 1573
3237 생각보다, 효녀 노릇 風文 2022.09.02 1573
3236 저리다 / 절이다 風文 2023.11.15 1573
3235 말의 평가절하 관리자 2022.01.31 1577
3234 세계어 배우기 風文 2022.05.11 1578
3233 아주버님, 처남댁 風文 2024.01.02 1578
3232 부동층이 부럽다, 선입견 風文 2022.10.15 1580
3231 어떻게 토론할까, 질문 안 할 책임 風文 2022.07.24 1583
3230 말의 적 / 화무십일홍 風文 2023.10.09 1585
3229 가짜와 인공 風文 2023.12.18 1585
3228 마라톤 / 자막교정기 風文 2020.05.28 1586
3227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風文 2023.11.14 1588
3226 마그나 카르타 風文 2022.05.10 1589
3225 뉴 노멀, 막말을 위한 변명 風文 2022.08.14 1590
3224 대통령과 책방 風文 2023.05.12 1590
3223 마녀사냥 風文 2022.01.13 1591
3222 반동과 리액션 風文 2023.11.25 1591
3221 ‘가오’와 ‘간지’ 風文 2023.11.20 1592
3220 두꺼운 다리, 얇은 허리 風文 2023.05.24 1596
3219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597
3218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598
3217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60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