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02.01 09:39

말의 세대 차

조회 수 139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말의 세대 차

말의 세대 차를 걱정하는 사람을 자주 만난다. ‘못 알아듣겠다.’ ‘이러다가 소통이 안 될까봐 걱정이다.’ ‘세대 차를 줄이려면 어떤 노력이 필요한가?’라고 말하기도 한다. 걱정도 팔자다. 노력하지 말라. 가끔은 뭘 하는 것보다 안 하는 게 나을 때가 있다. 세대 차를 줄이려는 노력은 허황되고 부질없다. 세대 차가 없는 말의 세계는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 ‘노화 저지’(안티에이징)가 시대적 과제라지만, 가는 세월 그 누가 잡을 수가 있겠나.

기성세대는 버릇처럼 젊은이들의 말을 달가워하지 않지만, 줄임말이나 신조어가 젊은이들의 전유물이기만 한 건 아니다. 새로운 말은 세대를 불문하고 어디서든 만들어진다. 누가 쓰느냐에 따라 평가를 달리할 뿐이다. 공식어나 격식체를 쓰는 공간에서도 줄임말이나 신조어를 빈번하게 쓴다. 그런데 정치에 무심한 사람에게는 ‘외통위, 법사위, 과기정통부, 윤핵관’이 생소할 수밖에 없다. 국가재정사업에 무심하면 ‘예타 면제’란 말을 모른다. 입시에 무심하면 ‘학종, 사배자, 지균’이 뭔지 모른다. 시골 농부는 ‘법카’를 모른다(알아 뭐 할꼬). 어떤 사람들에겐 못 알아듣는 말인데도, 아무도 문제 삼지 않는다. 이 공간을 차지한 사람들에게 친숙한 말이면 ‘모두가 쓰는 말’로 가정한다. 그 공간 밖에 있는 사람들의 말만 불온시한다. 편파적이다.

우리는 모든 장소와 시간에 존재할 수 없다. 말은 장소성을 갖는다. 장소를 공유하는 사람들이 새로운 말을 만들어낸다. 장소성을 갖지 않는, 장소성이 표시되지 않는, 중립적인 척하는 언어가 더 의심스럽다. 차이를 줄이기보다 차이를 밀어붙이자.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31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87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778
3238 몸으로 재다, 윙크와 무시 風文 2022.11.09 1537
3237 주현씨가 말했다 風文 2023.11.21 1539
3236 적과의 동침, 어미 천국 風文 2022.07.31 1540
3235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544
3234 자백과 고백 風文 2022.01.12 1544
3233 생각보다, 효녀 노릇 風文 2022.09.02 1544
3232 부동층이 부럽다, 선입견 風文 2022.10.15 1545
3231 돼지껍데기 風文 2023.04.28 1545
3230 저리다 / 절이다 風文 2023.11.15 1545
3229 '밖에'의 띄어쓰기 風文 2023.11.22 1548
3228 뉴 노멀, 막말을 위한 변명 風文 2022.08.14 1549
3227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552
3226 순직 風文 2022.02.01 1552
3225 귀 잡수시다? 風文 2023.11.11 1553
3224 마녀사냥 風文 2022.01.13 1554
3223 ‘가오’와 ‘간지’ 風文 2023.11.20 1554
3222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風文 2022.08.06 1556
3221 두꺼운 다리, 얇은 허리 風文 2023.05.24 1556
3220 피동형을 즐기라 風文 2023.11.11 1558
3219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風文 2023.11.14 1559
3218 마그나 카르타 風文 2022.05.10 1561
3217 '-시키다’ 風文 2023.12.22 156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