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01.30 00:22

사저와 자택

조회 수 110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사저와 자택

한국말에는 서로의 관계를 고려해서 조심해 써야 할 말들이 매우 많다. 존댓말만이 아니라 아 다르고 어 다르다는 말처럼 행여 오해 사지 않도록 신경 써야 할 부분이 한둘이 아니다. 그래서 우리의 어휘가 다양하고 다채롭다는 말을 들을 수도 있지만 반대로 그러한 세세한 구별이 과연 꼭 필요한가 하는 물음도 생긴다.

그 가운데 하루빨리 개선되었으면 하는 대표적인 것이 무심코 튀어나오는 전근대적인 표현들이다. 나이든 남자를 ‘영감’이라고 한다든지, 이미 고어가 되었어야 할 ‘아녀자’라는 말이 아직도 사전에 올라 있는 것이라든지, 같은 성인들 사이에서 손위 손아래 따지는 것 등은 우리 사회 곳곳에 아직 전근대적 요소가 버젓이 살아 있음을 보여 준다. 제대로 ‘시민사회’가 무르익지 못했다는 말이다. 언어만이 아니라 종종 터져나오는 약자에 대한 ‘갑’의 만행을 보면 분명히 전근대 사회의 양반이나 토호들이 머슴과 종들한테 해대던 패악질과 똑 닮지 않았는가?

대통령이 자리에서 물러나 본래 살던 집으로 돌아갔다. 너도나도 그 집을 ‘사저’라고 부른다. 사저는 관저와 대조되는 개념이다. 관저는 고위직에 있는 사람한테 제공된 집이다. 그러고 보니 사저라는 말 역시 그리 ‘현대적 표현’은 아니다. 공직이 끝나면 당연히 ‘자택’ 혹은 ‘자기 집’으로 돌아간다고 하는 것이 옳다. 듣자 하니 누군가는 ‘마마’라는 표현까지 했다고 한다.

물러난 대통령은 남달리 ‘영애, 시해, 아우라’ 등 우리의 시대정신과 어긋나는 비범한 말을 많이 들으며 살았다. 그러니만큼 그저 그런 보통사람의 삶과 다른 길을 걸었고 결국은 그것 때문에 사달이 나고야 말았다. 모든 사람의 삶에 좋은 교훈으로 삼기 위해서라도 그에게 덮어씌워져 있던 ‘전근대적 언어’를 우리 손으로 거두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김하수/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67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19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252
3150 형용모순, 언어의 퇴보 風文 2022.07.14 1286
3149 주권자의 외침 風文 2022.01.13 1290
3148 사투리 쓰는 왕자 / 얽히고설키다 風文 2023.06.27 1290
3147 배운 게 도둑질 / 부정문의 논리 風文 2023.10.18 1294
3146 좋은 목소리 / 좋은 발음 風文 2020.05.26 1297
3145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IMF, 막고 품어라, 내 인감 좀 빌려주게 風文 2022.02.01 1297
3144 오염된 소통 風文 2022.01.12 1299
3143 보편적 호칭, 번역 정본 風文 2022.05.26 1302
3142 “영수증 받으실게요” 風文 2024.01.16 1303
3141 ‘요새’와 ‘금세’ 風文 2024.02.18 1303
3140 성적이 수치스럽다고? 風文 2023.11.10 1304
3139 헛스윙, 헛웃음, 헛기침의 쓸모 風文 2023.01.09 1307
3138 갑질 風文 2024.03.27 1310
3137 지식생산, 동의함 風文 2022.07.10 1313
3136 멋지다 연진아, 멋지다 루카셴코 風文 2023.04.17 1313
3135 가던 길 그냥 가든가 風文 2024.02.21 1318
3134 일타강사, ‘일’의 의미 風文 2022.09.04 1322
3133 ‘시끄러워!’, 직연 風文 2022.10.25 1323
3132 ‘개덥다’고? 風文 2023.11.24 1325
3131 표준말의 기강, 의미와 신뢰 風文 2022.06.30 1329
3130 방언의 힘 風文 2021.11.02 1330
3129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1.07 133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