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01.26 20:57

말과 공감 능력

조회 수 101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말과 공감 능력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면 누구든지 자신의 언어, 곧 국어를 사용할 줄 안다. 또 외국어 사용 능력까지 갖춘 사람도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국어 사용 능력이라 하면 ‘그까짓 것’이라는 생각을 많이 한다. 반면에 외국에서 오래 활동도 하고 외국어도 잘하면 선망의 눈길을 보낸다. 외국어 능력을 국어 능력보다 더 귀히 여기는 것이다.

또 국어 능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면 대개는 ‘편협한 애국주의’ 아니냐는 반응도 적지 않다. 그러나 살아가면서 활용도가 높은 언어는 국어이고 외국어 능력은 주로 특이하고 독특한 업무와 관련이 된다. 외국어를 할 때는 문법, 발음, 어휘 같은 언어 소재들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게 되지만 국어 능력에는 그런 것보다 훨씬 더 중요하게 요구되는 다른 것이 있다. 바로 ‘공감 능력’이다. 국어가 외국어보다 더욱 중요한 까닭은 애국심에서가 아니라 공감 능력과 공동체 의식을 불러오기 때문이다.

국제적인 기관이나 학교에서 오랜 기간 활동을 하고 귀국했을 때 좀 멋진 모습을 보여 주고 싶어도 잘 되지 않는 까닭은 오랜 동안 멀어졌던 ‘분위기’에 공감을 못하거나 상대에게 공감을 불러일으키지 못해서이다. 적당히 맞장구만 쳐 주면 공감할 것 같지만 그게 쉽지 않다. 오히려 노력할수록 더 어색하고 어처구니없는 실수를 연발하고 이질감만 느끼게 한다.

공감 능력은 수많은 다양한 사람들과 소통을 하고 살아가면서 서로의 마음을 읽는 법을 터득했을 때 얻어진다. 너무 오랜 세월 해외에서 활동한 사람들이 귀국해서 대중친화적인 일을 하려면 일정한 재학습 기간이 필요한 것 같다. 오래되고 이질화된 논조에 어수룩한 화법, 동시대인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운 언행은 서로간의 간극만 확인시켜주고 그간에 쌓아올린 긍정적인 면모를 하찮게 만들어 버릴 가능성이 많다.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595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48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540
3150 좌익 바람의종 2007.08.20 6598
3149 지양 바람의종 2007.08.20 9954
3148 지척 바람의종 2007.08.21 6766
3147 지하철 바람의종 2007.08.21 8000
3146 지향 바람의종 2007.08.22 6600
3145 질곡 바람의종 2007.08.22 8002
3144 질풍, 강풍, 폭풍, 태풍 바람의종 2007.08.23 8489
3143 차례 바람의종 2007.08.23 6609
3142 청사 바람의종 2007.08.24 5910
3141 청사진 바람의종 2007.08.24 7700
3140 청신호 바람의종 2007.08.30 7633
3139 초미 바람의종 2007.08.30 8630
3138 추파 바람의종 2007.08.31 11133
3137 퇴짜 바람의종 2007.08.31 10151
3136 배제하다?/최인호 바람의종 2007.08.31 8872
3135 우리말의 참된 가치 / 권재일 바람의종 2007.08.31 13106
3134 아사리판 / 한용운 바람의종 2007.08.31 11335
3133 속과 안은 다르다 / 김수업 바람의종 2007.08.31 8346
3132 파경 바람의종 2007.09.01 10932
3131 파국 바람의종 2007.09.01 8852
3130 파천황 바람의종 2007.09.04 9676
3129 파투 바람의종 2007.09.04 972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