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01.11 07:55

띄어쓰기 특례

조회 수 179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띄어쓰기 특례

‘특례’라는 말이 있다. 그저 ‘특이한 사례’라는 뜻에 지나지 않지만 우리의 마음에는 ‘부당한 이익’에 대한 의심도 있다. 그래서 대학 입학의 특례라든지 병역의 특례라고 한다면 누군가가 부당한 이익을 본다고 판단하고 부러워하기도 하고 분노하기도 한다.

달리, 맞춤법의 특례를 찾아보자. 맞춤법에서의 특례는 다행히 그리 부럽지도 화가 나지도 않는다. 더구나 띄어쓰기는 좀 틀려도 그리 창피하지도 않게 생각한다. 그러다 보니 ‘해 주다’라든지 ‘던져 버리다’의 뒷부분을 이루는 보조용언은 아예 “띄어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고 융통성 있게 규정했다.

맞춤법의 총칙에 의하면 대명사인 ‘우리’와 보통명사인 ‘말/글’이나 ‘나라’의 사이를 띄는 것이 맞다. 그러나 하나의 특례처럼 ‘우리말’과 ‘우리나라’를 ‘한국어’와 ‘한국’이라는 뜻으로 붙여서 고유명사처럼 쓴다. 워낙 빈도가 높기도 하지만 또 한편 우리의 것에 대한 특별한 표기를 강조했음도 숨길 수 없다.

그러나 이미 한국어 자체가 꼭 한국인만의 언어라고 말하기도 거북스러울 만큼 외국인들이 많이 배운다. 만일 한국어에 익숙한 일본인이나 미국인이 ‘우리나라’, ‘우리말’이라는 단어를 사용한다면 그것은 분명히 한국이나 한국어가 아닐 것이다. 그들의 ‘우리 말’은 일본어나 영어일 가능성이 크다.

한국어를 위한 맞춤법인데 한국에 대한 부분에 특례를 둔 것이 무슨 잘못이냐는 반론도 가능하지만 국경을 넘어 널리 알려진 언어는 원어민만의 배타적인 성격보다는 열린 규칙으로 만인을 편하게 하는 것이 더 낫다. 한국어는 이제 그리 낯설지 않은 언어이다. 이제는 특수성을 넘어선 보편성이 더 필요하다고 본다.

김하수/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61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27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143
3150 좌익 바람의종 2007.08.20 6722
3149 지양 바람의종 2007.08.20 10049
3148 지척 바람의종 2007.08.21 6873
3147 지하철 바람의종 2007.08.21 8120
3146 지향 바람의종 2007.08.22 6729
3145 질곡 바람의종 2007.08.22 8111
3144 질풍, 강풍, 폭풍, 태풍 바람의종 2007.08.23 8588
3143 차례 바람의종 2007.08.23 6722
3142 청사 바람의종 2007.08.24 6011
3141 청사진 바람의종 2007.08.24 7785
3140 청신호 바람의종 2007.08.30 7762
3139 초미 바람의종 2007.08.30 8746
3138 추파 바람의종 2007.08.31 11252
3137 퇴짜 바람의종 2007.08.31 10338
3136 배제하다?/최인호 바람의종 2007.08.31 8965
3135 우리말의 참된 가치 / 권재일 바람의종 2007.08.31 13409
3134 아사리판 / 한용운 바람의종 2007.08.31 11429
3133 속과 안은 다르다 / 김수업 바람의종 2007.08.31 8421
3132 파경 바람의종 2007.09.01 11116
3131 파국 바람의종 2007.09.01 9031
3130 파천황 바람의종 2007.09.04 9818
3129 파투 바람의종 2007.09.04 987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