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1.10.13 19:25

고령화와 언어

조회 수 78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고령화와 언어

기대 수명이 날로 늘어나면서 장수보다 건강 수명에 관심을 가지는 시대이다. 보건, 복지, 의료 등이 주로 고령화 문제로 고민하고 교육, 경제 등에도 새로운 과제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면서 동시에 언어 문제에 대해서도 고려해야 할 부분이 눈에 띈다.

노인들이 말 때문에 불편한 것은 한두 가지가 아니다. 공공 기관에 가도 안내하는 ‘젊은 분’들의 말이 너무 빠르다. 미안하게도 자꾸 되묻게 된다. 특히 거대한 종합병원 같은 곳에서는 늘 어리둥절하게 마련이다. 날이 갈수록 ‘주변화’되고 있다는 느낌, 바로 그것이 노인들의 소외감일 것이다. 그러다가 동네 병원에 가면 마음이 느긋해진다. 톱니바퀴처럼 숨쉴 겨를도 없는 조직 체계가 불편하게 느껴지고, 마음 편한 환경을 찾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젊은 사람들이 활발하게 사용하는 신조어나 특이한 약어에도 매우 불편함을 느낀다. 새로운 외래어가 지독히 낯선 것은 물론이다. 그렇다고 그런 언어를 탓하기도 쉽지는 않다. 노인의 언어가 ‘고령자방언’이 되어 가고 있는 중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세대간의 소통 장애’는 다가온 것이다.

나이든 세대의 언어를 젊은 세대가 열심히 배우기만 하면 됐던 시기는 이미 저물었다. 노인의 말은 무관심의 대상이 되었고, 노인들이 젊은 언어를 배울 기회는 없다. 세대간 소통 장애는 저절로 해소되지 않는다. 방치하면 점점 더 벌어진다. 늙어도 또 배울 수 있는 기회, 그래서 젊은이들의 새로운 지식을 함께 공유하고 그들의 의견을 이해하고 지지할 수도 있는, 또 젊은이들은 노인들이 왜 매사에 이러저러한 반응만 보이는지를 이해하게 되는 ‘지속가능한 소통 체계’에 대해 더 늦기 전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젊은이들도 점점 늙어간다. 사실 ‘살아간다’는 말과 ‘죽어간다’는 말은 서로 대척점에 있는 반대말처럼 들린다. 그러나 그 의미는 똑같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죽어가고 있는 것이다.

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07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62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681
3304 주어 없는 말 風文 2021.11.10 1090
3303 순직 風文 2022.02.01 1093
3302 말과 절제, 방향과 방위 風文 2022.07.06 1094
3301 역사와 욕망 風文 2022.02.11 1096
3300 인종 구분 風文 2022.05.09 1096
3299 그림과 말, 어이, 택배! 風文 2022.09.16 1097
3298 사람, 동물, 언어 / 언어와 인권 風文 2022.07.13 1099
3297 말의 세대 차 風文 2023.02.01 1100
3296 3인칭은 없다, 문자와 일본정신 風文 2022.07.21 1101
3295 ‘~스런’ 風文 2023.12.29 1101
3294 애정하다, 예쁜 말은 없다 風文 2022.07.28 1102
3293 용찬 샘, 용찬 씨 風文 2023.04.26 1102
3292 법과 도덕 風文 2022.01.25 1104
3291 울면서 말하기 風文 2023.03.01 1104
3290 개념의 차이, 문화어 風文 2022.06.13 1105
3289 새로운 한자어, 이름과 실천 風文 2022.06.18 1105
3288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109
3287 노동과 근로, 유행어와 신조어 風文 2022.07.12 1112
3286 말의 바깥, 말의 아나키즘 風文 2022.08.28 1112
3285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112
3284 더(the) 한국말 風文 2021.12.01 1113
3283 다만, 다만, 다만, 뒷담화 風文 2022.09.07 11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