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1.24 18:43

~라고 / ~고

조회 수 13796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 바루기] ~라고 / ~고

ㄱ. 진수는 "내가 세 시에 너희 집으로 가겠다"라고 말했다.
 ㄴ. 진수는 자신이 세 시에 우리 집으로 오겠다고 말했다.

ㄱ은 진수의 입에서 나온 말을 그대로 따와서 옮겨놓은 것이다. 이처럼 남의 말이나 글, 생각 등을 똑같이 옮겨 표현하는 것이 직접 인용이다. ㄴ은 진수의 말을 그대로 따온 것이 아니고 말하는 사람이나 글을 쓰는 사람의 입장에서 간접적으로 옮겨 전하고 있다. 즉 간접 인용 형식을 취하고 있다.

ㄷ. 그는 나에게 "너희 학교에 가보자"고 말했다.
ㄹ. 친구는 선선히 "내가 그 책을 빌려 주마"고 했다.
ㅁ. 진호는 "나 모래 공군에 입대한다"고 말했다.

ㄷ, ㄹ, ㅁ은 직접 인용 형식으로 쓰려 했는데 문제가 있다. 직접 인용을 하려면 인용문 뒤에 '(이)라고'가 와야 하는데 간접 인용문을 만들 때 쓰이는 '고'를 붙인 것이다. 이런 실수를 주위에서 자주 발견할 수 있다. 위 예문들은 '라고'를 사용하거나 '그는 나에게 우리 학교에 가보자고 말했다/ 친구는 선선히 자신이 그 책을 빌려주마고 했다/ 진호는 그가 모래 공군에 입대한다고 말했다'처럼 간접 인용문으로 고쳐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08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69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627
3128 팔자 바람의종 2007.09.08 8968
3127 폐하 바람의종 2007.09.09 9995
3126 푼수 바람의종 2007.09.10 11610
3125 한량 바람의종 2007.09.12 8552
3124 한성 바람의종 2007.09.18 11201
3123 한약 한 제 바람의종 2007.09.19 11123
3122 합하 바람의종 2007.09.20 8395
3121 행각 바람의종 2007.09.21 8275
3120 바람의종 2007.09.22 9119
3119 ‘김치’와 ‘지’ 바람의종 2007.09.22 6992
3118 형극 바람의종 2007.09.23 12436
3117 기다 아니다 바람의종 2007.09.23 14714
3116 호구 바람의종 2007.09.26 11375
3115 언어의 가짓수 바람의종 2007.09.26 12871
3114 호구 바람의종 2007.09.28 8408
3113 상일꾼·큰머슴 바람의종 2007.09.28 12657
3112 호남 바람의종 2007.09.29 9048
3111 ‘기쁘다’와 ‘즐겁다’ 바람의종 2007.09.29 12426
3110 홍일점 바람의종 2007.10.05 10851
3109 고려에 넣어? 바람의종 2007.10.05 8093
3108 환갑 바람의종 2007.10.06 18435
3107 언어 분류 바람의종 2007.10.06 1337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