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1.30 16:36

하꼬방

조회 수 14457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하꼬방

빈민촌이나 달동네의 허름한 집을 가리킬 때 '하코방'이란 말이 많이 쓰인다. "이곳 하코방들에는 변소가 없었다. 그러므로 여기 주민들은 대소변에 있어서 아주 개방적이었다"처럼 도시 빈민의 궁핍한 삶이나 소외된 도시 근로자들의 열악한 환경을 묘사하는 작품에 등장하기도 한다. '하코방'이란 인터넷 쇼핑몰도 있다. '하코방'은 상자나 궤짝 등을 의미하는 일본어 '하코(はこ.箱)'에 한자어 '방(房)'이 합쳐진 말이다. 그대로 풀이하면 '상자방, 궤짝방'이 된다. 판자로 벽을 만들어 흡사 궤짝같이 지은 허술한 집을 일컫는다. 우리말로는 '판잣집' 정도가 적당하다. 일제시대에는 토지 등을 빼앗긴 농민들이 서울 외곽으로 몰려들면서 '토막집' '토굴집'이라 불리는 무허가 건물이 있었다고 한다. 본격적으로 판잣집이 생겨나기 시작한 건 한국전쟁 직후다. 전쟁으로 폐허가 된 상황에서 미군부대에서 흘러나온 두꺼운 종이상자나 판자로 벽을 세워 대충 바람만 가리게 만든 집이 많았다고 한다. 판잣집이 모여 있는 매우 가난한 동네를 '판자촌'이라고 하는데 우리나라의 공식 1호 판자촌은 서울 용산구 '해방촌'이다. 요즘은 방을 여러 개로 나누었다는 점에서 '쪽방'이란 말도 많이 사용하지만 아직 표준어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일본말인 '하코방'은 '판잣집'으로 쓰는 게 바람직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39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02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953
3172 되바라지다 風磬 2006.11.16 14381
3171 십상이다 바람의종 2010.08.11 14376
3170 고주망태 風磬 2006.09.21 14372
3169 유해, 유골 바람의종 2010.09.05 14367
3168 빈축, 효빈, 눈살, 눈쌀 바람의종 2009.12.04 14359
3167 제작, 제조, 조제 바람의종 2010.07.05 14352
3166 알았습니다. 알겠습니다. 바람의종 2012.06.19 14319
3165 오지랖이 넓다 바람의종 2008.01.27 14301
3164 미소를 띠다 / 미소를 띄우다 바람의종 2009.05.29 14289
3163 죽음을 이르는 말들 file 바람의종 2010.01.08 14261
3162 햇쌀, 햅쌀, 해쌀 바람의종 2009.02.19 14259
3161 체신머리, 채신머리 바람의종 2009.07.18 14255
3160 입천장이 '데이다' 바람의종 2012.05.04 14225
3159 ‘앗다’와 ‘호함지다’ 바람의종 2010.04.18 14219
3158 버스 값, 버스비, 버스 요금 바람의종 2010.03.24 14208
3157 부인, 집사람, 아내, 안사람 바람의종 2010.02.15 14203
3156 한식 요리 띄어쓰기 바람의종 2010.08.19 14176
3155 오사바사하다 風磬 2007.01.19 14173
3154 올곧다 바람의종 2007.03.03 14161
3153 제비초리 바람의종 2007.03.23 14151
3152 동티가 나다 바람의종 2007.12.31 14144
3151 바투 바람의종 2010.11.10 141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