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1.10 13:15

푸르름

조회 수 9105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푸르름

최고의 권위와 최대의 어휘를 자랑하는 표준국어대사전에 단어 '푸르름'은 실려 있지 않다. 물론 이는 실수가 아니고 의도적인 배제임이 분명하다. 이유는 간단해 보인다. '푸르름'은 '푸르르-+-ㅁ'으로 분석되는데, 한국어 형용사에 '푸르르다'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규범에 맞지 않는다는 것이리라. 그러나 그렇게 쉽게 폐기해 버리기엔 뭔가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다.

첫째, 이 말은 수많은 문학작품에 쓰여 왔다. 애초에 음률을 고르기 위해 시어로서 쓰이기 시작했을 이 단어는 시뿐만 아니라 소설.수필 등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일반인의 서정적인 글쓰기에도 자주 등장한다. 오랜 세월에 걸쳐 이미 상당한 언어 세력을 얻은 단어라 할 수 있다.
둘째, 규범형이라고 할 수 있는 '푸름'은 '푸르름'을 대신하기 어렵다. 둘 사이에는 미묘한 차이가 존재한다. '푸름'은 푸른 빛깔을 모두 가리키지만 '푸르름'은 숲이나 바다 등의 싱그러운 푸른빛만을 가리킨다. '푸르름'에는 특별한 정서적 분위기가 드리워져 있는 것이다.
셋째, 중세 국어에는 '프르다'와 '프를다'가 병존했는데, '푸르름'은 기원적으로 '프를-+-음'일 가능성이 있다. 만일 이런 가정이 옳다면 '푸르름'이 문법적 일탈을 범했다는 혐의도 벗을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64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08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057
3215 ‘통일’의 반대말 風文 2023.01.16 1631
3214 ‘통장을 부르다’와 ‘시끄럽다’ 바람의종 2010.04.30 12136
3213 ‘파바’와 ‘롯리’ 風文 2023.06.16 1202
3212 ‘팜므파말’ 바람의종 2011.12.22 13323
3211 ‘평어’를 쓰기로 함, 심심하다 風文 2022.11.23 1729
3210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205
3209 ‘하므로’와 ‘함으로’ 바람의종 2009.12.04 9475
3208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람의종 2008.03.16 5461
3207 “김” 風文 2023.03.06 1569
3206 “돈이 남으십니다” 바람의종 2010.10.11 6502
3205 “사겨라” “바꼈어요” new 風文 2024.05.31 27
3204 “산따” “고기떡” “왈렌끼” new 風文 2024.05.31 15
3203 “영수증 받으실게요” 風文 2024.01.16 1431
3202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風文 2023.12.30 1079
3201 “자식들, 꽃들아, 미안하다, 보고 싶다, 사랑한다, 부디 잘 가라” 風文 2022.12.02 1288
3200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259
3199 ○○노조 風文 2022.12.26 1235
3198 ㄹ는지 바람의종 2010.03.07 8910
3197 ㅂ불규칙 활용 바람의종 2010.04.23 11587
3196 美國 - 米國 / 3M 風文 2020.06.08 1562
3195 良衣·거리쇠 바람의종 2008.06.27 722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