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1.10 13:15

푸르름

조회 수 9106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푸르름

최고의 권위와 최대의 어휘를 자랑하는 표준국어대사전에 단어 '푸르름'은 실려 있지 않다. 물론 이는 실수가 아니고 의도적인 배제임이 분명하다. 이유는 간단해 보인다. '푸르름'은 '푸르르-+-ㅁ'으로 분석되는데, 한국어 형용사에 '푸르르다'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규범에 맞지 않는다는 것이리라. 그러나 그렇게 쉽게 폐기해 버리기엔 뭔가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다.

첫째, 이 말은 수많은 문학작품에 쓰여 왔다. 애초에 음률을 고르기 위해 시어로서 쓰이기 시작했을 이 단어는 시뿐만 아니라 소설.수필 등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일반인의 서정적인 글쓰기에도 자주 등장한다. 오랜 세월에 걸쳐 이미 상당한 언어 세력을 얻은 단어라 할 수 있다.
둘째, 규범형이라고 할 수 있는 '푸름'은 '푸르름'을 대신하기 어렵다. 둘 사이에는 미묘한 차이가 존재한다. '푸름'은 푸른 빛깔을 모두 가리키지만 '푸르름'은 숲이나 바다 등의 싱그러운 푸른빛만을 가리킨다. '푸르름'에는 특별한 정서적 분위기가 드리워져 있는 것이다.
셋째, 중세 국어에는 '프르다'와 '프를다'가 병존했는데, '푸르름'은 기원적으로 '프를-+-음'일 가능성이 있다. 만일 이런 가정이 옳다면 '푸르름'이 문법적 일탈을 범했다는 혐의도 벗을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89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35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281
3216 대통령과 책방 風文 2023.05.12 1259
3215 있다가, 이따가 風文 2024.01.03 1259
3214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260
3213 경텃절몽구리아들 / 모이 風文 2020.05.24 1264
3212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264
3211 정치와 은유(2, 3) 風文 2022.10.13 1264
3210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266
3209 돼지의 울음소리, 말 같지 않은 소리 風文 2022.07.20 1267
3208 ‘이’와 ‘히’ 風文 2023.05.26 1267
3207 어떤 문답 관리자 2022.01.31 1269
3206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風文 2022.08.06 1269
3205 말의 적 / 화무십일홍 風文 2023.10.09 1269
3204 유신의 추억 風文 2021.11.15 1270
3203 쌤, 일부러 틀린 말 風文 2022.07.01 1272
3202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風文 2023.11.14 1272
3201 뉴 노멀, 막말을 위한 변명 風文 2022.08.14 1273
3200 '마징가 Z'와 'DMZ' 風文 2023.11.25 1275
3199 1도 없다, 황교안의 거짓말? 風文 2022.07.17 1276
3198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277
3197 새말과 소통, 국어공부 성찰 風文 2022.02.13 1278
3196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280
3195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28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