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8.19 17:03

한식 요리 띄어쓰기

조회 수 14231 추천 수 2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식 요리 띄어쓰기

김치.비빔밥 등 한류 바람을 타고 세계 속으로 파고든 한식 요리는 최고의 건강식품으로 그 진가를 인정받고 있다. 한식은 기본이 되는 밥.국.김치 외에 조리 방법에 따라 각종 무침.구이.볶음.찜.튀김.조림.찌개.전골.전 등 그 종류도 다양하다. '쌀밥.미역국.배추김치/ 시금치무침.생선구이.야채볶음.갈비찜.새우튀김.갈치조림/ 김치찌개.버섯전골.호박전' 등 그 재료가 조리법 앞에 붙어 요리 이름이 된다. 요리 이름 뒤에 붙는 조리법은 독립적인 한 단어다. 그러므로 띄어쓰기의 기본 원칙에 따르면 요리 재료들과 조리법은 띄어 써야 한다. 그러나 음식 이름이 될 때는 대부분 붙여 쓴다. 국어사전에 조리법 중 무침.구이.볶음.찜.튀김.조림의 경우 음식을 뜻할 때는 붙여 쓰라고 돼 있지만, 국.찌개.전골.전 등에는 이러한 언급이 없다. 이 경우 사전에 없는 단어는 띄어 써야 하나, 붙여 써야 하나? 예를 들면 소고기로 끓인 국을 '쇠고깃국/ 쇠고기 국' 중 어떤 표기가 옳은가? 또 사전에 한 단어로 돼 있지 않은 '야채 찌개, 김치 전골, 버섯 전, 쇠고기 산적, 김치 부침개, 오징어 데침, 두부 지짐이' 등은 띄어쓰기를 어떻게 해야 하나? 국어사전에서 요리에 관한 통일된 띄어쓰기 원칙이 아쉽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04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68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519
3304 할망구 바람의종 2007.04.24 11371
3303 할말과 못할말 바람의종 2008.01.05 7736
3302 할려고? 하려고? 바람의종 2010.07.25 14602
3301 할 일 없이 / 하릴없이 바람의종 2010.08.03 12979
3300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1.07 1692
3299 할 게, 할게 바람의종 2009.08.03 9868
3298 한풀 꺾이다 바람의종 2008.02.01 16131
3297 한통속 바람의종 2007.04.23 6621
3296 한테·더러 바람의종 2009.05.02 8956
3295 한터와 자갈치 바람의종 2008.03.12 9429
3294 한창과 한참 바람의종 2010.03.10 11611
3293 한참동안 바람의종 2007.04.23 9238
3292 한참, 한창 바람의종 2008.10.29 8017
3291 한잔, 한 잔 바람의종 2009.07.22 9341
3290 한자의 두음, 활음조 바람의종 2010.04.26 12304
3289 한자성어(1) 바람의종 2008.06.19 7629
3288 한자를 몰라도 風文 2022.01.09 1729
3287 한약 한 제 바람의종 2007.09.19 11177
» 한식 요리 띄어쓰기 바람의종 2010.08.19 14231
3285 한소끔과 한 움큼 風文 2023.12.28 1664
3284 한성 바람의종 2007.09.18 11268
3283 한번과 한 번 1 바람의종 2010.08.14 1565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