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7.30 20:15

찧다 / 빻다

조회 수 16613 추천 수 2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찧다 / 빻다

옛 방앗간 풍경을 묘사한 글을 읽다가 '정미기가 없던 시절 벼를 빻던 디딜방아'라는 사진 설명을 봤다. '빻다'와 '찧다'는 어떻게 다를까. '찧다'는 곡식 따위를 절구 등에 넣고 쓿거나 부서뜨리기 위해 공이로 여러 번 내려치는 것을 말한다. 이에 반해 '빻다'는 '짓찧어서 가루로 만들다'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찧다'는 '빻다'보다는 쓰이는 범위가 좀 더 넓다.

 곡물의 껍질을 벗겨내는 일 즉, 도정(搗精)을 표현할 때는 '찧다'만 쓰고 '빻다'는 쓰지 않는다. 그러므로 '방아를 찧다, 벼를 찧다'가 옳고 '방아를 빻다, 벼를 빻다'라고 쓰면 안 된다. 부서뜨린다는 의미로 쓸 때도 '마늘을 찧다, 풋고추를 찧다'처럼 물기가 있는 것을 짓이기는 것을 표현할 때는 '찧다'가 좋으며 '밀을 빻아 밀가루를 만들다, 색깔 있는 돌을 빻아 음식처럼 차렸다' 처럼 마른 곡물이나 기타 단단한 물건을 가루로 만드는 작업에는 '빻다'가 어울린다.

 참고로 ''찧다''와 ''빻다''의 과거형을 표현할 때 ''찌었다/빠았다''로 쓰는 사람들이 간혹 있지만 이때는 ㅎ 받침을 그대로 살린 ''빻았다/찧었다''가 맞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26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88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779
3282 아니오 / 아니요 風文 2023.10.08 1313
3281 법과 도덕 風文 2022.01.25 1314
3280 남과 북의 언어, 뉘앙스 차이 風文 2022.06.10 1314
3279 용찬 샘, 용찬 씨 風文 2023.04.26 1314
3278 일본이 한글 통일?, 타인을 중심에 風文 2022.07.22 1316
3277 거짓말과 개소리, 혼잣말의 비밀 風文 2022.11.30 1316
3276 말의 미혹 風文 2021.10.30 1317
3275 교정, 교열 / 전공의 風文 2020.05.27 1321
3274 정당의 이름 風文 2022.01.26 1321
3273 분단 중독증, 잡것의 가치 風文 2022.06.09 1321
3272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323
3271 날씨와 인사 風文 2022.05.23 1324
3270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325
3269 저리다 / 절이다 風文 2023.11.15 1325
3268 예민한 ‘분’ 風文 2023.05.29 1326
3267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327
3266 세계어 배우기 風文 2022.05.11 1327
3265 개념의 차이, 문화어 風文 2022.06.13 1328
3264 남친과 남사친 風文 2023.02.13 1329
3263 '김'의 예언 風文 2023.04.13 1329
3262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風文 2022.07.27 1332
3261 매뉴얼 / 동통 風文 2020.05.30 133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