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7.21 21:08

혹성, 행성, 위성

조회 수 11381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혹성, 행성, 위성

태양계 행성이 8개로 줄어들게 됐다. 국제천문연맹이 명왕성의 행성 지위를 박탈했기 때문이다. 공전 구역 내에서 지배적 역할을 하며 충분한 질량과 중력을 갖춰 구형을 유지해야 한다는 요건에 맞지 않는다는 이유에서다.

 태양계의 수성.금성.지구.화성.목성.토성.천왕성.해왕성과 같이 중심 별의 주위를 돌면서 그 별의 빛을 받아 반사하는 천체를 '행성(行星)'이라 한다. 이를 달리 '혹성(惑星)'이라 부르는 사람도 있다. '혹성 탈출'이란 영화도 있어 별 거부감 없이 쓰지만 '혹성'은 일본식 한자어이므로 '행성'으로 순화해 사용하는 게 좋다. "명왕성이 태양계 혹성에서 제외된 건 궤도가 해왕성과 일부 겹치고 제나 등 비슷한 규모의 천체와도 가까워 공전 구역 내에서 지배적 역할을 한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처럼 써서는 안 된다.

 공전 주기에 따라 위치가 변한다 하여 행성을 순 우리말로는 '떠돌이별'이라 한다. 이에 반해 스스로 빛을 내며 하늘에 고정돼 있는 천체인 태양이나 북극성을 항성(恒星), 즉 '붙박이별'이라고 부른다. 지구의 달, 화성의 포보스.데이모스와 같이 행성 주위를 도는 천체는 '위성(衛星)'이라 하는데 순 우리말 이름은 '달별'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66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19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124
3392 '매우''아주''몹시' 바람의종 2008.05.01 7825
3391 '명문'이라는 이름 / 가족의 의미 風文 2020.07.16 2683
3390 '미망인'이란 말 風文 2021.09.10 1105
3389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591
3388 '밖에'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7.16 11065
3387 '밖에'의 띄어쓰기 風文 2023.11.22 1532
3386 '받다'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18 25667
3385 '붓'의 어원 風文 2023.08.18 1919
3384 '사과'의 참뜻 / 사람의 짓 風文 2020.07.14 2236
3383 '상(上)' 띄어쓰기 바람의종 2012.06.13 10303
3382 '숫'을 쓰는 동물 바람의종 2012.09.25 10130
3381 '식해(食)'와 '식혜(食醯)' 바람의종 2009.02.22 7691
3380 '아' 다르고 '어' 다르다 바람의종 2008.04.22 9944
3379 '여부' 의 사용을 줄이자(上) 바람의종 2008.06.21 6931
3378 '여부' 의 사용을 줄이자(下) 바람의종 2008.06.23 6039
3377 '여부' 의 사용을 줄이자(中) 바람의종 2008.06.22 5609
3376 '연륙교'의 발음은? 바람의종 2012.01.06 10849
3375 '우레'가 운다 바람의종 2008.05.25 7915
3374 '이' '히' 거참 헷갈리네 바람의종 2008.07.03 7138
3373 '이/가' '을/를' 바람의종 2009.03.27 5667
3372 '자처'와 '자청' 바람의종 2011.05.01 9211
3371 '작'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10.01 1067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