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3222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목소리, 한 목소리, 한걸음, 한 걸음

 어떤 사안에 대해 ''같은 견해나 사상을 표현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를 때 ''한 목소리''라고 띄어서 적는 경우가 많지만 이때는 ''한목소리''라고 붙여 써야 한다. 즉 "미.일은 한목소리로 북한을 성토했다"처럼 쓰는 게 옳다. 반면 "숲 속에서 ''한 목소리''를 들었다"에서처럼 ''어떤 목소리''나 ''목소리 하나''라는 뜻으로 사용할 때는 띄어 써야 한다.

 ''한''은 의미가 다양하다. ''책 한 권''의 경우는 그 수량이 하나임을 뜻하고 "옛날 한 총각이 살았는데…"에서는 ''어떤''의 뜻을 나타내며 "그들은 한마을에 살아서 서로 친하다"의 경우는 ''같음''을 나타낸다. 앞의 둘은 관형사이므로 띄어 써야 하고 후자는 접두사여서 붙여 쓴다.

 ''한걸음/한 걸음''도 의미에 따라 띄어쓰기가 다르다. "그는 ''한 걸음''씩 목표를 향해 나아갔다"에서처럼 수량이 하나라는 뜻이면 띄어 써야 하고 "그는 병원까지 ''한걸음''에 달려갔다"처럼 ''쉬지 않고 내쳐 걸었다''라는 의미이면 띄어 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21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73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665
3282 거짓말과 개소리, 혼잣말의 비밀 風文 2022.11.30 1193
3281 영어 열등감, 몸에 닿는 단위 風文 2022.04.27 1194
3280 아줌마들 風文 2022.01.30 1197
3279 옹알이 風文 2021.09.03 1198
3278 우방과 동맹, 손주 風文 2022.07.05 1201
3277 세계어 배우기 風文 2022.05.11 1202
3276 말의 미혹 風文 2021.10.30 1203
3275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203
3274 조의금 봉투 風文 2023.11.15 1203
3273 개념의 차이, 문화어 風文 2022.06.13 1204
3272 저리다 / 절이다 風文 2023.11.15 1204
3271 법과 도덕 風文 2022.01.25 1205
3270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205
3269 왠지/웬일, 어떻게/어떡해 風文 2023.06.30 1206
3268 왕의 화병 風文 2023.11.09 1206
3267 야민정음 風文 2022.01.21 1209
3266 생각보다, 효녀 노릇 風文 2022.09.02 1209
3265 몸으로 재다, 윙크와 무시 風文 2022.11.09 1210
3264 정보와 담론, 덕담 風文 2022.06.15 1212
3263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風文 2023.02.27 1212
3262 과잉 수정 風文 2022.05.23 1214
3261 남과 북의 언어, 뉘앙스 차이 風文 2022.06.10 121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