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09.22 04:43

‘김치’와 ‘지’

조회 수 6878 추천 수 2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김치’와 ‘지’ - 고장말탐험

김치는 방언에서는 ‘짐치’ 또는 ‘지’라고 말한다. ‘짐치’는 한자어인 ‘짐 , 짐’에서 온 말이지만, ‘지’라는 말은 ‘디히>디>지’로 변한 아주 오래된 우리말이다. 표준어에서는 ‘배추지’의 ‘-지’를 명사로 보지 않고 ‘접미사’로 처리한다. ‘지’가 명사로 쓰일 때는 사투리로 처리한다.

‘지’에는 배추지·무수지(무지)·오이지·고들빼기지·파지·열무지 등이 있다. 배추나 열무로 김치를 처음 담글 때, 이 김치를 ‘쌩지’(생지)라고 말하고, 오래된 김치는 ‘묵은지’, 익은 김치는 ‘익은지’, 신 김치는 ‘신지’라 한다.

‘짓국’이란 반찬은 ‘김치 국물’이라는 뜻에다, ‘열무에 물을 많이 넣어 삼삼하게 담근 김치’를 말하기도 한다. 뒤쪽을 전라도에서는 ‘싱건지’라고 한다. 이는 ‘싱거운 김치’를 일컫는데, ‘싱겁다’에서 나온 것이다. ‘짓국’ 또는 ‘싱건지’를 ‘물김치’라고 하는 분들이 있는데, 표준어에는 없던 말로서 생긴 지 그리 오래된 말은 아니다.

‘짠지’는 ‘멸치짠지, 콩짠지’ 등을 말할 때 주로 쓰이는데, ‘짠 밑반찬’을 말한다. 때에 따라 ‘무가 흔할 때 소금에 절여두었다가 채를 썰어서 먹는 밑반찬’을 ‘짠지’라고도 한다. ‘멸치짠지, 콩짠지’는 고장말이고 표준어로는 ‘멸치조림, 콩조림’이라고 하는 줄 안다.

‘지’는 음절이 하나인 말이 갖는 불안정성 탓에 복합어에 주로 쓰이지만 온전한 말로 대접해야 한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80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28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200
3282 ‘강한 바람’만인가? 바람의종 2007.10.27 7004
3281 ‘개덥다’고? 風文 2023.11.24 1373
3280 ‘거칠은 들판’ ‘낯설은 타향’ 風文 2024.01.09 1425
3279 ‘건강한’ 페미니즘, 몸짓의 언어학 風文 2022.09.24 1268
3278 ‘걸다’, 약속하는 말 / ‘존버’와 신문 風文 2023.10.13 1430
3277 ‘경우’ 덜쓰기/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5 6925
3276 ‘고마미지’와 ‘강진’ 바람의종 2008.04.08 8075
3275 ‘곧은밸’과 ‘면비교육’ 바람의종 2010.04.26 10241
3274 ‘괴담’ 되돌려주기 風文 2023.11.01 1455
3273 ‘그러지 좀 마라’ 바람의종 2010.02.07 7743
3272 ‘기쁘다’와 ‘즐겁다’ 바람의종 2007.09.29 12203
3271 ‘긴장’과 ‘비난수’ 바람의종 2010.03.30 17881
» ‘김치’와 ‘지’ 바람의종 2007.09.22 6878
3269 ‘꾹돈’과 ‘모대기다’ 바람의종 2010.05.09 13467
3268 ‘끄물끄물’ ‘꾸물꾸물’ 風文 2024.02.21 1301
3267 ‘나이’라는 숫자, 친정 언어 風文 2022.07.07 1272
3266 ‘내 부인’이 돼 달라고? 風文 2023.11.01 1042
3265 ‘넓다´와 ‘밟다´의 발음 바람의종 2010.08.15 22656
3264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風文 2023.02.27 1181
3263 ‘달 건너 소식’과 ‘마세’ 바람의종 2010.05.31 10729
3262 ‘당신의 무관심이 …’ 바람의종 2008.04.02 6489
3261 ‘대틀’과 ‘손세’ 바람의종 2010.05.28 1367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