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9.03 19:29

표식/표지, 성력/생력

조회 수 12130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표식/표지, 성력/생력

중고등학교에 다닐 때 한자 시험에는 함정이 있는 문제가 많이 출제되었다. “다음 한자의 독음을 쓰시오”라는 문제에 敗北, 嫌惡, 遊說 등을 내놓았다. 두 가지 이상의 뜻과 음을 가진 한자 또는 본음과 속음이 다른 한자를 문제로 내놓아 헷갈리게 만든 것이다.

“일부는 항공기 표면에 멕시코 경찰 항공기와 같은 청색과 흰색 페인트칠을 하고, 멕시코 정부를 상징하는 표식까지 붙여 위장을 하기도 한다.” 마약조직과 관련한 중앙 일간지 기사의 한 구절이다.

기사 중의 ‘표식’은 한자로 쓰면 ‘標識’으로서 바른 독음은 ‘표지’이다. ‘識’은 ‘알다’는 뜻으로는 ‘식’으로 읽고, ‘적다, 표하다’는 뜻으로는 ‘지’로 읽는다. 그런데 ‘표지’를 ‘표식’으로 쓰거나 발음하는 사람이 많다. ‘표식’을 틀린 말로 계속 놔두는 것이 옳은지 모르겠다. 오늘날 이 말을 한자로 적는 사람은 거의 없다. 그러니 그냥 한글 낱말로 받아들여 ‘표지’와 ‘표식’을 모두 허용하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겠다. 그런데 문제가 없지는 않다. ‘표식’을 허용하면 ‘표지판’을 ‘표식판’으로 읽는 것도 허용해야 할 터인데, 좀 지나친 것 같기도 하다. 어느 쪽이 좋겠다고 주장하기가 꺼려진다.

‘인력절감’이라는 뜻의 ‘省力’이라는 말은 일본에서 들여온 말이다. ‘省’이 ‘살피다’는 뜻이 아니고 ‘덜다’는 뜻이므로 ‘생력’으로 읽어야 한다. 사전에도 ‘생력’으로 실려 있다. 그러나 이 말을 가장 많이 쓰는 기업이나 단체에서는 하나같이 ‘성력’으로 쓰고 있다. 번역 오류에 기인되었지만 되돌리기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92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59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454
3216 ‘맞다’와 ‘맞는다’, 이름 바꾸기 風文 2022.09.11 1486
3215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487
3214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風文 2023.02.27 1488
3213 순직 風文 2022.02.01 1490
3212 뒤치다꺼리 風文 2023.12.29 1491
3211 자막의 질주, 당선자 대 당선인 風文 2022.10.17 1492
3210 어떻게 토론할까, 질문 안 할 책임 風文 2022.07.24 1496
3209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風文 2022.08.06 1497
3208 살인 진드기 風文 2020.05.02 1499
3207 ○○노조 風文 2022.12.26 1501
3206 '김'의 예언 風文 2023.04.13 1501
3205 돼지껍데기 風文 2023.04.28 1508
3204 올가을 첫눈 / 김치 風文 2020.05.20 1509
3203 남과 북의 협력 風文 2022.04.28 1511
3202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512
3201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중소기업 콤플렉스 風文 2022.01.13 1513
3200 도긴개긴 風文 2023.05.27 1513
3199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514
3198 우방과 동맹, 손주 風文 2022.07.05 1520
3197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524
3196 이름 짓기, ‘쌔우다’ 風文 2022.10.24 1524
3195 정치인의 애칭 風文 2022.02.08 15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