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6.16 08:23

파랑새

조회 수 7371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파랑새

짐슴이름

“새야새야 파랑새야 녹두밭에 앉지 마라/ 녹두꽃이 떨어지면 청포 장수 울고 간다// 새야새야 파랑새야 우리 논에 앉지 마라/…/ 새야새야 파랑새야 우리 밭에 앉지 마라.”

애절한 사연과 노랫가락이 가슴으로 젖어든다. 갑오개혁 때 일본군에 맞서 나라를 지키려던 전봉준의 동학군을 풍유적으로 나타냈다. 여기 파랑새는 파란 군복을 입었던 일본군, 녹두꽃은 녹두장군 전봉준 또는 농민군들이다. 달리 파랑새의 ‘파랑’은 전봉준의 전(全) 자를 푼 팔+왕(八王)을 소리 내면 ‘파랑’이 되니까 전봉준을 가리킨다고도 한다. ‘파랑새’ 아닌 ‘녹두새’로 된 노래도 있다.

외세 침탈을 받지 않고 평화롭게 살기를 바라던 흰옷 입은 백성들 …. 노벨문학상을 받았던 모리스 마테를링크의 <파랑새>(L’Oiseau bleu)는 어떤가? 날아간 파랑새를 찾아 어린 남매가 산을 넘고 물을 건너 길을 떠나지만 어디에도 파랑새는 없었다. 지친 나머지 집에 돌아와 보니 그토록 간절하게 찾아 헤맸던 파랑새가 집안 새장에서 노래하며 어린 친구들을 기다리고 있지 않은가.

이레 명상수도 끝에 파랑새의 도움으로 관음굴에 들어가 수행하니 연꽃이 피고 관세음보살이 나타나 그 자리에 홍련암을 세웠다는 의상의 이야기도 큰 흐름은 같다. ‘프랑스’와 소리가 비슷하여 ‘파랑새’와 연관짓기도 한다. 이름 짓는 이들이 먼저 주목하는 게 빛깔을 보는 것이다. 그런데, 모두 제 눈에 안경이다.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13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67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584
3172 공적인 말하기 風文 2021.12.01 1314
3171 혼성어 風文 2022.05.18 1314
3170 배레나룻 風文 2024.02.18 1314
3169 ‘부끄부끄’ ‘쓰담쓰담’ 風文 2023.06.02 1317
3168 내 청춘에게? 風文 2024.02.17 1317
3167 드라이브 스루 風文 2023.12.05 1318
3166 정치인의 애칭 風文 2022.02.08 1319
3165 ‘웃기고 있네’와 ‘웃기고 자빠졌네’, ‘-도’와 나머지 風文 2022.12.06 1322
3164 후텁지근한 風文 2023.11.15 1324
3163 인쇄된 기억, 하루아침에 風文 2022.08.12 1329
3162 되묻기도 답변? 風文 2022.02.11 1329
3161 보편적 호칭, 번역 정본 風文 2022.05.26 1333
3160 떼려야 뗄 수 없는 인연 風文 2024.02.17 1333
3159 만인의 ‘씨’(2) / 하퀴벌레, 하퀴벌레…바퀴벌레만도 못한 혐오를 곱씹으며 風文 2022.11.18 1335
3158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IMF, 막고 품어라, 내 인감 좀 빌려주게 風文 2022.02.01 1336
3157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중소기업 콤플렉스 風文 2022.01.13 1339
3156 지긋이/지그시 風文 2023.09.02 1340
3155 '넓다'와 '밟다' 風文 2023.12.06 1342
3154 노랗다와 달다, 없다 風文 2022.07.29 1345
3153 사투리 쓰는 왕자 / 얽히고설키다 風文 2023.06.27 1346
3152 오염된 소통 風文 2022.01.12 1348
3151 웃어른/ 윗집/ 위층 風文 2024.03.26 135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