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4.09 19:50

가입시더

조회 수 6572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입시더

고장말

‘-입시더/-읍시더’는 경상도 말로, 아주높임·예사높임에 두루 쓰인다. 표준어 ‘-읍시다’와 ‘-오/-소’(가오·먹소)에 대응한다. “할매요, 밥 안 묵었으믄 함께 묵읍시더.”(<부르는 소리> 김향숙) “지발 당분간은 서로 못 본 듯 사입시더.”(<영웅시대> 이문열) ‘-입시더/-읍시더’는 행동을 같이할 것을 청할 때 쓰는데, ‘-입·-읍’이 탈락한 ‘-시더’가 경북 북부에서 쓰이기도 한다. “아이, 그 여 얼매 안 되니더. 여 바로 뒤에 있니더. 그럼 그리 가시더.”(<한국구비문학대계> 경북편)

‘-입시더/-읍시더’에 대응하는 다른 말은 ‘-읍세다’(습세다)와 ‘-읍주’다. ‘-읍주’는 제주에서 쓰인다. “무사마씀, 나도 가삽주.” “어수다(아닙니다). 나, 나 디(같이) 갑주 뭐, 무사 난 아니 갈 말이꽈?”(<한국구비문학대계> 제주편) ‘-읍세다’는 황해·강원을 뺀 북녘에서 두루 쓰이며, 재중동포들이 많은 만주 쪽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제꺽 찍으시우, 그리구 새 집에 갑세다.”(<이사가는 날> 최학수·재북)

‘-읍세다’와 ‘-읍주’는 아주높임 자리에, ‘-읍세’는 예사높임 자리에 쓰인다. “날래 들어가서 아침이나 먹읍세.”(<고려백정의 사위> 김용식·재중) ‘-읍세’에 대응하는 전라말이 ‘-드라고/-더라고’다. “이, 돌른(훔친) 물건 아닝께 싸게 묵드라고.”(<태백산맥> 조정래)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18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58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540
3172 가라, 와라 바람의종 2011.11.20 9528
3171 가랭이 / 가랑이 바람의종 2010.08.05 16555
3170 가르치다, 가리키다 바람의종 2008.10.01 6742
3169 가마즁이·언년이 바람의종 2008.06.19 7002
3168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035
3167 가마우지 바람의종 2009.06.29 6291
3166 가시 돋힌 설전 바람의종 2010.04.01 13307
3165 가시버시 바람의종 2007.12.17 7390
3164 가시버시 바람의종 2010.04.26 9971
3163 가시집 바람의종 2008.03.15 7473
3162 가야와 가라홀 바람의종 2008.04.01 7008
3161 가열차다, 야멸차다 바람의종 2009.03.18 11278
3160 가엾은/가여운, 서럽다/서러운, 여쭙다/여쭈다 바람의종 2009.06.29 11615
3159 가오 잡다, 후카시 잡다 바람의종 2009.11.24 17093
3158 가와 끝 바람의종 2008.01.13 6727
3157 가외·유월이 바람의종 2008.09.06 7697
3156 가을하다 바람의종 2007.12.28 7082
3155 가이없는 은혜 바람의종 2012.08.17 9082
» 가입시더 바람의종 2009.04.09 6572
3153 가젠하민 바람의종 2009.05.24 6876
3152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241
3151 가짜와 인공 風文 2023.12.18 104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