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28 20:27

공목달·웅섬산

조회 수 5843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공목달·웅섬산

땅이름

공주의 옛이름인 ‘웅진’의 어원이 ‘고마나루’였음은 널리 알려졌다. ‘고마’는 ‘곰’을 뜻하는 한자 ‘웅’(熊)과 대응 관계를 이루며, ‘나루’ 또한 ‘진’(津)으로 맞옮겼다. 그런데 ‘고마’는 ‘곰’보다는 ‘제사장’을 뜻하는 ‘검’과 관련이 깊은 말이다. 단군 왕검에 들어 있는 ‘검’이나 백제의 백성들이 왕을 ‘건길지’로 불렀다는 기록도 ‘검’과 ‘고마’가 제사장에서 비롯된 ‘임금’을 뜻하는 말이었음을 나타낸다.

<삼국사기> 지리지에는 ‘고마’와 관련된 땅이름으로 ‘고미현’(곤미현으로 개명), ‘고마미지현’(무진주의 땅이름), ‘고마지’(고노현으로 개명), ‘고마며지현’(마읍현으로 개명)이 더 나타난다. 또한 <북사>에는 백제의 도읍지를 ‘고마성’이라고 불렀다는 기록도 있다. 이처럼 ‘고마’는 주로 백제와 관련된 땅이름에 남아 있으며, 경기도 하남시의 ‘검단산’도 한성 백제시대의 진산(鎭山)으로 왕이 하늘에 제사를 지냈던 곳으로 알려졌다.

‘고마’가 음이 비슷한 ‘공목’으로 표기되면 전혀 다른 땅이름처럼 보인다. <삼국사기>에는 한산주에 ‘공목달’이라는 땅이 있었는데, ‘웅섬산’으로 개명했다는 기록이 있다. 공목달은 지금의 연천에 있던 땅이름이다. ‘공목’은 ‘고마’의 다른 표기였으므로 ‘웅’과 대응 관계를 이루며, ‘달’은 고구려계 땅이름에서 ‘산’이나 ‘고’(高)와 대응되는 말이었다. 백제가 부여의 또다른 종족이었으며, 고구려 또한 부여에서 나온 나라이니 두 나라의 땅이름 표기가 섞이는 것은 자연스럽다.

허재영/단국대 인재개발원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85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38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353
422 어린노미·넙덕이 바람의종 2008.07.12 6526
421 생잡이·생둥이 바람의종 2008.07.12 7952
420 걱정과 유감 바람의종 2008.07.10 6316
419 둔지말 당두둑 바람의종 2008.07.10 7315
418 상사화 바람의종 2008.07.06 6644
417 두런·가라치 바람의종 2008.07.06 7236
416 굼때다 바람의종 2008.07.05 6938
415 새이방우, 새미골 바람의종 2008.07.05 6710
414 미치광이풀 바람의종 2008.07.04 5787
413 감동·어루동 바람의종 2008.07.04 5814
412 교복물림 바람의종 2008.07.03 6799
411 널다리와 너더리 바람의종 2008.07.02 8099
410 우산나물 바람의종 2008.07.02 7303
409 무적쇠·구즉이 바람의종 2008.07.01 6733
408 애리애리 바람의종 2008.07.01 8577
407 아름다운 말 바람의종 2008.06.28 6170
» 공목달·웅섬산 바람의종 2008.06.28 5843
405 봄맞이꽃 바람의종 2008.06.27 5317
404 良衣·거리쇠 바람의종 2008.06.27 7263
403 깜빠니야 바람의종 2008.06.27 6641
402 시쳇말로 … 바람의종 2008.06.25 9935
401 인왕산 바람의종 2008.06.25 585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