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12 01:13

샘골과 시암실

조회 수 5949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샘골과 시암실

땅이름

‘샘’은 땅에서 물이 솟아나는 곳을 말한다. 물이 솟듯이 힘이 솟는 것도 ‘샘솟다’라고 표현한다. 샘이 있는 곳이면 사람들이 모여 살기에 적합한 땅이다. 그래서 샘과 관련된 땅이름도 매우 많다. 다만 ‘샘’은 솟아오르는 물이 적으며, 모여 사는 사람들이 많지 않기에 행정 지역의 이름으로 쓰이는 경우는 많지 않다. 그래서 큰 고을 이름은 ‘샘’에 해당하는 한자어 ‘천’(泉)이나 ‘정’(井)이 붙는다. 예를 들어 ‘뒷샘골’을 북천동(北泉洞)으로 맞옮겼으니 ‘북’은 방향으로 볼 때 뒤쪽에 해당하며, ‘천’은 ‘샘’을 뜻한다.

‘샘’은 지역 따라 발음 차이가 심하다. ‘시암’이라고 일컫는 지방이 많은데, 전북에서는 ‘통시암’[桶井], ‘시암내’[元泉里], ‘참시암골’[寒泉]은 익산이나 정읍 지역에서 비교적 쉽게 찾을 수 있는 땅이름이다. ‘참시암골’에서 ‘참’은 ‘차다’의 ‘찬’이 바뀐 것이다. 또한 ‘시암’은 ‘시양’으로 바뀔 수도 있다. ‘시양골’도 전북 지역에서 비교적 자주 찾을 수 있는 땅이름이다.

‘샘’에 ‘골’(고을)이 붙으면 ‘샘골’을 이루며, 이때의 ‘샘’은 ‘골’에 있는 여린입천장소리 기역을 닮아 ‘이응’으로 바뀌면서 발음이 ‘생골’로 된다. 이렇게 바뀐 ‘생골’은 ‘생사 관념’을 만들어내며, 관련된 전설이 생겨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죽음에 다다른 사람이 살고 싶어 한 마을’, 또는 ‘괴로운 삶을 벗어나고자 한 사람이 꿈속에서 다녀왔던 마을’이라는 이야기는 이름에서 우물이 사라진 생골에서 생겨날 수 있는 이야기 형태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26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78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784
3084 열 딸라 바람의종 2008.05.27 8133
3083 장보고·논복 바람의종 2008.05.29 8744
3082 참꽃마리 바람의종 2008.05.29 5948
3081 흙성과 가린여흘 바람의종 2008.05.31 11143
3080 차별② 바람의종 2008.05.31 6329
3079 크리스마스나무 바람의종 2008.06.02 10158
3078 처녀치마 바람의종 2008.06.02 6836
3077 혈구군과 갑비고차 바람의종 2008.06.03 8896
3076 새해 인사 바람의종 2008.06.03 6580
3075 돈자리·행표 바람의종 2008.06.04 6743
3074 동자꽃 바람의종 2008.06.04 6745
3073 한강과 사평 바람의종 2008.06.05 7673
3072 글틀 바람의종 2008.06.05 6208
3071 사탕·기름사탕 바람의종 2008.06.07 8732
3070 도리장이·물자이 바람의종 2008.06.07 7427
3069 얼레지 바람의종 2008.06.08 6016
3068 소양강·우수주 바람의종 2008.06.08 7289
3067 아들아, 딸아? 바람의종 2008.06.09 4869
3066 손가락방아 바람의종 2008.06.09 7978
3065 다믈사리·막생 바람의종 2008.06.11 8056
3064 앉은부채 바람의종 2008.06.11 5535
» 샘골과 시암실 바람의종 2008.06.12 594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