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9 11:58

패수와 열수

조회 수 10674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패수와 열수

<삼국사기> 고구려 본기를 보면, 광개토왕 4년 8월에 왕이 패수(浿水)에서 백제와 크게 싸워 이겼다는 기록이 나온다. ‘패수’가 어디인지는 정확히 알기 어려우나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신라 선덕왕 때에 한산주에 ‘패강진’(浿江鎭)을 설치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황해도 평산에 ‘패강진’이 있었다고도 한다. 또한 패수를 열수(列水)라 부르기도 하였는데, ‘열’(列)은 ‘벌림’을 뜻하는 말이므로 거센소리가 되기 이전의 ‘패수’와 같은 말이다. 양주동은 <고가연구>에서 ‘패수’의 ‘배’를 ‘밝음’을 뜻하는 ‘ㅂ·ㄺ’으로 풀이한 바 있다. 이 풀이를 그대로 믿을 수는 없으나 ‘패수’의 ‘패’나 ‘열수’의 ‘벌’은 모두 땅이름에 쓰이는 ‘벌’과 깊은 관련이 있다. 다만 ‘벌’은 넓은 들을 뜻하며, 강을 낀 넓은 벌판은 사람이 모여 살기에 적합한 땅이 된다.

광개토의 아들인 장수왕은 사천(蛇川) 들에 나아가 사냥하면서 흰노루를 잡았고, 이후 평양으로 천도한 임금이다. 장수왕이 사냥했다는 ‘사천’ 또한 ‘뱀ㄴ·ㅣ’다. ‘사천’과 ‘사수’(蛇水)는 같은 뜻이니 이 또한 ‘벌’이다. 사학자 이병도는 ‘패수’를 청천강이라고 했는데, 한백겸의 <동국지리지>에 근거한 것이다. 그러나 땅이름 ‘패강·패수·사천’ 등이 ‘벌’과 관련이 있음을 고려한다면, 패수는 ‘벌’을 낀 강을 두루 나타내는 보통명사로 보는 것이 타당할 듯하다.

‘패수’에서 확인되는 ‘벌’의 땅이름 분포는 고조선의 영토 고증뿐만 아니라 우리 겨레의 뿌리를 찾는 데 귀중한 자료로 쓸 만한 보기라 하겠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85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55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259
3194 영어 공용어화 風文 2022.05.12 1649
3193 ○○노조 風文 2022.12.26 1652
3192 '김'의 예언 風文 2023.04.13 1652
3191 기림비 2 / 오른쪽 風文 2020.06.02 1653
3190 남과 북의 협력 風文 2022.04.28 1653
3189 위탁모, 땅거미 風文 2020.05.07 1654
3188 방언의 힘 風文 2021.11.02 1656
3187 주권자의 외침 風文 2022.01.13 1659
3186 공적인 말하기 風文 2021.12.01 1664
3185 무술과 글쓰기, 아버지의 글쓰기 風文 2022.09.29 1666
3184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667
3183 질문들, 정재환님께 답함 風文 2022.09.14 1672
3182 우방과 동맹, 손주 風文 2022.07.05 1674
3181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678
3180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680
3179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680
3178 ‘맞다’와 ‘맞는다’, 이름 바꾸기 風文 2022.09.11 1682
3177 드라이브 스루 風文 2023.12.05 1685
3176 뒤치다꺼리 風文 2023.12.29 1685
3175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685
3174 보편적 호칭, 번역 정본 風文 2022.05.26 1688
3173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69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