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8 07:20

터물·더믈

조회 수 8333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터물·더믈

사람이름

세종 3년(1423년), 김가물·김사안·김내거(金加勿·金沙安·金乃巨) 등 남녀 다섯이 요동에서 도망쳐 왔다. 본디 강계 사람으로, 요동으로 달아나 동녕위(東寧衛) 군대에 들어갔다가 고향이 그리워 도망 온 사람들이었다. 임금은 이들이 비록 우리 사람이나 중국 군대에 이름을 올렸으므로, 구실아치와 함께 그들을 요동으로 보냈다. 이름 표기에서 加勿(가물)은 ‘더믈’을, 高時加勿(고시가물)은 ‘고시더믈’을 적는다.

<용비어천가>에 夾溫猛哥帖木兒(협온맹가첩목아)·賽因帖木兒(새인첩목아)·兀魯帖木兒(올로첩목아)·高時帖木兒(고시첩목아) 따위 사람이름이 ‘갸온멍거터물·사인터물·우로터믈·고시더믈’로 적혀 있다. 帖木兒(첩목아)를 적는 ‘터물·터믈·더믈’ 가운데 앞서 본 바와 같이 ‘더믈’은 우리나라 말로 바뀐 것이고 ‘터물’은 몽골말 소릿값, ‘터믈’은 그 중간 꼴이다.

‘터물’은 몽골 사람 이름에 자주 쓰이는 밑말로, 쇠를 뜻한다. 그 자취는 야인과 우리나라 사람이름에 남아 있다. ‘부허’(不花)는 ‘부개·보개’로, ‘오부카/오부허’는 ‘어부개’로, ‘노하이’는 ‘노개’, ‘코이시터물’은 ‘고시더믈’로도 자리잡았다. 그 밖에 ‘바얀, 바두/바두리/바토/바토이, 사안/사얀, 돌치, 보라/보로, 야수개’ 따위 이름이 쓰였다. ‘돌치’는 티베트말로 도르찌(다이아몬드), 보로는 볼로르(수정)다. 몽골 사람 이름에는 지금도 티베트말이 자주 쓰인다. 이렇듯 사람이름에는 이웃과의 역사 관계에서 함께 쓰는 이름들이 있다. 조선 후기로 오면서 이런 영향은 자취를 감춘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41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09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827
3150 국가의 목소리 風文 2023.02.06 1720
3149 8월의 크리스마스 / 땅꺼짐 風文 2020.06.06 1724
3148 만인의 ‘씨’(2) / 하퀴벌레, 하퀴벌레…바퀴벌레만도 못한 혐오를 곱씹으며 風文 2022.11.18 1724
3147 개양귀비 風文 2023.04.25 1724
3146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725
3145 성인의 세계 風文 2022.05.10 1726
3144 괄호, 소리 없는, 반격의 꿔바로우 風文 2022.08.03 1726
3143 ‘웃기고 있네’와 ‘웃기고 자빠졌네’, ‘-도’와 나머지 風文 2022.12.06 1727
3142 배운 게 도둑질 / 부정문의 논리 風文 2023.10.18 1728
3141 지긋이/지그시 風文 2023.09.02 1729
3140 전설의 마녀, 찌라시 / 지라시 風文 2020.06.16 1731
3139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732
3138 지도자의 화법 風文 2022.01.15 1733
3137 ‘부끄부끄’ ‘쓰담쓰담’ 風文 2023.06.02 1733
3136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739
3135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739
3134 지명의 의의 風文 2021.11.15 1742
3133 단골 風文 2023.05.22 1742
3132 백열 / 풋닭곰 風文 2020.05.09 1743
3131 아이 위시 아파트 風文 2023.05.28 1743
3130 ‘파바’와 ‘롯리’ 風文 2023.06.16 1744
3129 너무 風文 2023.04.24 174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