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1 02:13

꽃무릇

조회 수 6092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꽃무릇
 



 


“선운사 골째기로/ 선운사 동백꽃을 보러갔더니 ….”(서정주·선운사 동구에서), “꽃이/ 피는 건 힘들어도/ 지는 건 잠깐이더군 …”(최영미·선운사에서)이라고 동백꽃을 노래했지만, 지금 선운사에는 ‘꽃무릇’이 불타고 있다. 영광 불갑사, 함평 용천사, 장성 백양사 쪽도 한창이다.

‘꽃무릇’은 ‘꽃+무릇’으로 된 말인데, ‘무릇’의 뜻을 가늠하기 어렵다. 어떤 이는 무리지어 피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라고도 하는데, 무리지어 피는 꽃이 어디 한둘이랴. 오히려 ‘무릇하다: 좀 무른 듯하다’는 뜻과 관련지을 수 있을 듯한데, ‘밥을 무릇하게 짓는다’고도 한다. 무릇을 ‘물고리/ 물구’라고 일컫기도 한다. 그런데 무릇은 무르지 않아 꽃대로 조리를 만들기도 했던 것을 보면, 반그늘 습지에서 자라는 점을 반영한 이름이 아닐까 싶다.

한자 이름은 ‘석산’(石蒜)이다. 흔히 ‘상사화’(相思花)와 혼동하는데, 같은 수선화과지만, 꽃무릇은 9~10월에 피고, 상사화는 6~7월에 피고 키도 크다.

후제 어느 시인이 읊을 멋들어진 꽃무릇 노래를 기대해 본다. 꽃말이 ‘슬픈 추억’이라니 불타는 쓰린 사랑의 노래가 나올 법도 하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사진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49793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6293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1284
    read more
  4. 위례성과 아리수

    Date2008.04.24 By바람의종 Views8796
    Read More
  5. 나비나물

    Date2008.04.24 By바람의종 Views5848
    Read More
  6. 가히·논개②

    Date2008.04.23 By바람의종 Views9670
    Read More
  7. 낙지와 오징어

    Date2008.04.23 By바람의종 Views8924
    Read More
  8. 예식장

    Date2008.04.22 By바람의종 Views6859
    Read More
  9. 술이홀과 파주

    Date2008.04.22 By바람의종 Views7524
    Read More
  10. 꽃무릇

    Date2008.04.21 By바람의종 Views6092
    Read More
  11. 논개

    Date2008.04.21 By바람의종 Views8329
    Read More
  12. 기윽 디읃 시읏

    Date2008.04.20 By바람의종 Views10959
    Read More
  13. 나들이

    Date2008.04.20 By바람의종 Views8624
    Read More
  14. 금산과 진내을

    Date2008.04.19 By바람의종 Views6887
    Read More
  15. 쑥부쟁이

    Date2008.04.19 By바람의종 Views7357
    Read More
  16. 통장을 부르다

    Date2008.04.17 By바람의종 Views11524
    Read More
  17. 인사말

    Date2008.04.17 By바람의종 Views7219
    Read More
  18. 영양과 ‘고은’

    Date2008.04.16 By바람의종 Views10620
    Read More
  19. 인사

    Date2008.04.15 By바람의종 Views9826
    Read More
  20. 거제의 옛이름 ‘상군’(裳郡)

    Date2008.04.15 By바람의종 Views8572
    Read More
  21. 분꽃

    Date2008.04.14 By바람의종 Views7188
    Read More
  22. 곧은밸

    Date2008.04.13 By바람의종 Views6571
    Read More
  23. 일벗 사이

    Date2008.04.13 By바람의종 Views9840
    Read More
  24. 버들과 땅이름

    Date2008.04.10 By바람의종 Views7972
    Read More
  25. 비비추

    Date2008.04.10 By바람의종 Views6686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