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5 10:38

해오라기난초

조회 수 8281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해오라기난초

풀꽃이나 이를 박은 사진을 보면, 탄성이 절로 날 때가 있다. 사람이 만든 어떤 예술품도 신의 수준을 절대 따라가지 못하나니, 어쩜 이렇게 생길 수가! 할 정도로 빛깔·모양이 멋지고 신기한 것 중에 ‘해오라기난초’가 있다. 활짝 핀 모습이 날개를 펴고 나는 해오라기를 닮았다. ‘해오라비난초’라고도 하는데, ‘해오라비’는 ‘해오라기’의 경상도 고장말이다. ‘해오라기’의 ‘해’는 ‘희다’와 통한다. 이는 ‘풀’에서 ‘푸르다’가 나온 것과 마찬가지로, ‘해’에서 ‘희다’가 나온 것으로 볼 수 있다. ‘오라기’는 해오라기가 ‘해오리’로도 불린 것을 보면, ‘오리’와 연관된 말일 수 있겠다. ‘해오라기’를 백로(白鷺)로 일컫기도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백로·해오라기·왜가리는 다르다. 백로는 이 셋을 통틀어 이르며, 흔히 까마귀와 맞견주는 백로가 실은 중백로인데, 이 꽃은 해오라기보다는 중백로를 닮았다. 날아가는 해오라기보다 꽃이름이 더 멋진데, 실제로 그 모습까지 금방이라도 꽃대에서 날아오를 듯한 까닭이다. “해오라비조는 곁에서/ 물뱀의 새끼를 업고 나는 꿈을 꾸었다”는 백석의 시 ‘늙은 갈대의 독백’처럼 동물과 식물이 소통하는 자연의 어울림을 여기서 본다.
 


 
[해오라기난초]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91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40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458
3172 소태와 소도 바람의종 2008.03.27 7827
3171 짝벗 사이 바람의종 2008.03.28 7395
3170 바쁘다 바람의종 2008.03.28 5668
3169 자주꽃방망이 바람의종 2008.03.29 7865
3168 짝벗 일컫기 바람의종 2008.03.29 6961
3167 도라산역 바람의종 2008.03.29 5672
3166 방조하다 바람의종 2008.03.30 7262
3165 무궁화 바람의종 2008.03.30 5799
3164 명량·울돌목 바람의종 2008.03.30 6991
3163 오누이 바람의종 2008.03.31 7875
3162 직통생 바람의종 2008.03.31 7094
3161 가야와 가라홀 바람의종 2008.04.01 6995
3160 서방과 사위 바람의종 2008.04.01 7918
3159 마라초 바람의종 2008.04.01 6166
3158 맥문동 바람의종 2008.04.02 6316
3157 무너미·목넘이 바람의종 2008.04.03 6674
3156 선과 청혼 바람의종 2008.04.03 6543
3155 거꿀반명제 바람의종 2008.04.04 6093
3154 한내와 가린내 바람의종 2008.04.05 9204
» 해오라기난초 바람의종 2008.04.05 8281
3152 이름 부르기 바람의종 2008.04.06 7257
3151 안겨오다 바람의종 2008.04.06 72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