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3 09:09

무너미·목넘이

조회 수 6799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무너미·목넘이

황순원의 소설 <목넘이 마을의 개>는 한 마을에 흘러들어 온 신둥이(흰둥이)의 강인한 삶을 통하여 온갖 고난을 이겨내는 우리 겨레를 상징한 소설로 알려졌다. 소설 속의 ‘목 넘이 마을’은 사방 산으로 둘러싸여 어느 곳이든 ‘목’을 넘어야 갈 수 있는 마을이어서 붙은 이름이다. 이야기 배경이 평안도 어느 마을로 설정돼 있으나 구체적으로 어느 곳인지는 알 수 없다. 다만 황순원이 평안도 대동 출생이니 그곳 어디쯤에 있는 땅이름일 가능성이 높다.

‘목 넘이 마을’처럼 ‘넘다’라는 말이 들어간 땅이름도 비교적 흔히 찾을 수 있다. 중세어에서 ‘넘다’는 ‘남다’와 함께 쓰였다. 두 말이 모두 ‘넘는다, 지나치다. 남다’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말이었다. 예를 들어 “백년이 하마 반이 남으니”라는 말은 “백년이 벌써 반이나 지나가니”라는 뜻이며, <석보상절>에서는 한자어 ‘과’(過)를 ‘넘다’로 풀이한 바 있다. 이는 중세어에서 ‘넘다’와 ‘남다’가 넘나들며 쓰였음을 뜻한다. 이 말이 차츰 분화하여 ‘남다’와 ‘넘다’가 전혀 다른 뜻의 말이 되었다.

그런데 땅이름에서는 ‘남다’의 의미를 갖는 것은 찾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넘다’의 경우는 ‘너미’라는 형태로 자주 쓰인다. 예를 들어 ‘무너미’는 ‘둑이나 저수지에서 물이 넘어가는 곳’ 또는 ‘물 건너 마을’을 뜻한다. ‘목 넘이’의 ‘넘이’도 마찬가지다. ‘넘다’에 이름씨를 만드는 뒷가지 ‘이’가 붙어 땅이름으로 자연스럽게 쓰인 셈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79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40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405
290 지하철 바람의종 2007.08.21 8106
289 지척 바람의종 2007.08.21 6864
288 지양 바람의종 2007.08.20 10041
287 좌익 바람의종 2007.08.20 6712
286 조장 바람의종 2007.08.18 7155
285 제6공화국 바람의종 2007.08.18 9760
284 점심 바람의종 2007.08.17 9306
283 점고 바람의종 2007.08.17 7363
282 전하 바람의종 2007.08.16 6996
281 적자 바람의종 2007.08.16 13252
280 재야 바람의종 2007.08.15 7730
279 장안 바람의종 2007.08.15 9242
278 장본인 바람의종 2007.08.14 8598
277 자정 바람의종 2007.08.14 7733
276 자문 바람의종 2007.08.13 7365
275 은행 바람의종 2007.08.13 6839
274 용수철 바람의종 2007.08.11 7044
273 요지경 바람의종 2007.08.11 10914
272 와중 바람의종 2007.08.10 6936
271 오장육부 바람의종 2007.08.10 9718
270 영부인 바람의종 2007.08.09 7903
269 영남, 영동, 영서 바람의종 2007.08.09 1134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