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1 12:41

서방과 사위

조회 수 8190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서방과 사위

서방은 본디 ‘새 사람, 큰 사람’을 뜻하는 말로 본다. 흔히 아는, 글 읽는 방 또는 책방(書房·冊房)이 아니란 말이다. 정재도님은 ‘서’란 ‘사·소·솔·쇠·새’처럼 ‘ㅅ’ 계통 말로서 “새롭다, 크다”로, ‘방’은 “건설방(건달), 만무방(염치 없는 사람), 심방(만능 무당), 짐방(싸전 짐꾼), 창방(농악의 양반 광대)” 들의 ‘방’으로서 ‘房’이 아닌, ‘사람’을 가리키는 토박이말로 봤다.

성씨 뒤에 두어 사위·매제, 아랫 동서를 일컫거나 부르는 말로 쓰이고, 남편을 홀하게 일컬을 때도 쓰인다. 옛적에 책 읽는 선비보다 농투성이·장사꾼·사냥꾼·백정·광대·노비 … 들이 훨씬 많았고, 그들도 다 시집장가는 갔을 터인즉, 새 사람을 부르고 일컫는 말이 없을 리 없고보면, ‘서방’이 먼저고, 나중에 안다니들이 그럴싸한 문자(취음·書房·西房)를 끌어대어 퍼뜨렸을 법하다.

“서방맞다·서방하다·서방맞히다”는 시집가다·시집보내다·짝짓다는 말이다. 서방은 색시·각시와 맞서며, 서방질·계집질은 상스럽지만, 서방님이면 남편을 한층 높이는 말이 된다.

‘사위’는 예전엔 사회·사휘·싸회 …처럼 썼고, 사투리로는 ‘사오·사우’라고도 한다. 한자로는 서랑(壻郞) 여서(女壻) 질서(姪壻)의 ‘서’(壻)에 해당한다. 장인·장모는 사위를 ‘여보게!, ○ 서방!” 식으로 부르고, 글말로는 군(君)을 쓰며, 장인 사위 사이를 ‘옹서간’(翁壻間)이라 한다. 표준화법에서 사위는 아내의 어버이를 장인어른·장모님, 때로는 아버님·어머님으로 부를 수 있다고 봤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49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07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806
3172 가라, 와라 바람의종 2011.11.20 9699
3171 가랭이 / 가랑이 바람의종 2010.08.05 16719
3170 가르치다, 가리키다 바람의종 2008.10.01 6915
3169 가마즁이·언년이 바람의종 2008.06.19 7211
3168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210
3167 가마우지 바람의종 2009.06.29 6469
3166 가시 돋힌 설전 바람의종 2010.04.01 13441
3165 가시버시 바람의종 2007.12.17 7840
3164 가시버시 바람의종 2010.04.26 10172
3163 가시집 바람의종 2008.03.15 7802
3162 가야와 가라홀 바람의종 2008.04.01 7386
3161 가열차다, 야멸차다 바람의종 2009.03.18 11481
3160 가엾은/가여운, 서럽다/서러운, 여쭙다/여쭈다 바람의종 2009.06.29 11824
3159 가오 잡다, 후카시 잡다 바람의종 2009.11.24 17303
3158 가와 끝 바람의종 2008.01.13 7073
3157 가외·유월이 바람의종 2008.09.06 7910
3156 가을하다 바람의종 2007.12.28 7533
3155 가이없는 은혜 바람의종 2012.08.17 9269
3154 가입시더 바람의종 2009.04.09 6742
3153 가젠하민 바람의종 2009.05.24 7048
3152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734
3151 가짜와 인공 風文 2023.12.18 168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