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9 12:04

짝벗 일컫기

조회 수 7001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짝벗 일컫기

다른 언어에서도 짝벗(배필) 사이에서 부르는 안정되고 특별한 말은 드물다. 방향 정도나 애칭처럼 쓰이는 말뿐이다.(다링·디어·하니/영어, 아이건·롱롱/중국, 오마에·아나타/일본 …)

본디 부르는 말이 없는 게 자연스럽다고 할지라도, 서로 불러야 할 필요는 많다. 그 대안이 ‘애칭’이다. 실제 애칭을 만들어 쓰는 이도 적잖은 줄 안다. 우선은 자기들끼리 써서 편하게 통하면 된다. 나아가 숱하게 쓰긴 하지만, ‘여보’가 ‘여보시오’를 줄인 말이어서 재미 없다면 다른 말을 찾아 볼 수도 있다. “저(나) 좀 보아요”를 줄인 ‘저보’나 ‘나보’가 더 말맛이 난다면 ‘여보’를 제치고 애용될 수도 있을 터이다. 이쪽은 짝벗 사이 거리만큼 새말 깃발을 꽂을 여지가 많은 셈이다.

부르는 말이 안정되지 않은 만큼 짝벗을 일컫는 말도 다양하다. 남편이 아내를 제삼자 앞에서 “집사람·안사람·내자·마누라·아내·처 …”들로 일컫는다. 어버이나 동격 이상의 어른 앞에서는 ‘어미/에미·어멈, 그이, 그사람, ○○씨 …’들로 듣는이의 격에 따라 일컬음이 달라진다. 아내는 남편을 ‘바깥사람, 바깥양반, 밭사람, 그이 …’로 이른다. 어른 앞에서 ‘아비·애비/아범, ○ 서방 …’들을 써 왔고, 밖에서는 ‘우리 신랑, 저희 남편, 그이, 그사람, ○○씨 …’ 등 듣는이의 격에 맞춘 일컬음이 있다.

이 밖에 “철수야, 어머니는 어디 계시느냐” “자네 오라버니도 올 때가 됐네”처럼 듣는 상대 기준의 호칭이나 걸림말을 받아 쓰는 방식이 제일 흔하고 편하며 무난한 것으로 친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75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22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217
2996 쪼달리다, 쪼들리다 / 바둥바둥, 바동바동 바람의종 2012.09.27 13871
2995 쪼는 맛 바람의종 2010.07.25 11110
2994 짬이 나다 바람의종 2008.01.30 14056
2993 짧아져도 완벽해, “999 대 1” 風文 2022.08.27 1066
2992 짠지 file 바람의종 2009.07.29 6484
2991 짝태 바람의종 2008.06.13 8057
» 짝벗 일컫기 바람의종 2008.03.29 7001
2989 짝벗 사이 바람의종 2008.03.28 7439
2988 짜장면과 오뎅 바람의종 2011.11.17 11281
2987 짜다라 가 와라 바람의종 2009.09.23 11349
2986 짚신나물 바람의종 2008.05.23 6987
2985 집히다 / 짚이다 바람의종 2011.11.17 13415
2984 집중호우 -> 장대비 바람의종 2012.06.22 9481
2983 집이 갔슴둥? 바람의종 2009.03.31 6862
2982 바람의종 2008.03.18 6666
2981 질풍, 강풍, 폭풍, 태풍 바람의종 2007.08.23 8511
2980 질투 바람의종 2009.11.29 9624
2979 질척거리다, 마약 김밥 風文 2022.12.01 1497
2978 질문들, 정재환님께 답함 風文 2022.09.14 1330
2977 질곡 바람의종 2007.08.22 8026
2976 진짜 바람의종 2010.04.30 7919
2975 진정코 바람의종 2010.02.23 898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