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5 00:50

구미와 곶

조회 수 7285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구미와 곶

<표준국어대사전>에, ‘곶’은 ‘바다로 뻗어나온 모양을 한 곳’이라고 풀이돼 있다. 그렇다면 ‘곶’은 해안에만 있는 땅이름처럼 보이는데,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갈곶·갈고지·돌곶·돌고지’ 등은 바닷가가 아닌 곳에서도 흔히 보이는데, 두루 ‘곶’이 들어 있다.

우리말에서 ‘곶’은 ‘구무[굼]’와 마찬가지로 ‘움푹 파인 곳’을 뜻하는 말로 쓰였다. 이는 바닷가뿐만 아니라 내륙에서 움푹 파여 배를 대기 편한 곳에 ‘곶’을 붙인 데서도 알 수 있다. ‘곶’은 ‘고시’(古尸), ‘고자’(古自), ‘고차’(古次), ‘홀차’(忽次) 등으로 쓰였다. 백제 때 전남 장성군은 ‘고시리’(古尸伊)였으며, 신라 때 경남 고성군은 ‘고자미동국’(古資彌東國), 경기 안산은 ‘고사야홀차’(古斯也忽次)였다. ‘홀차’가 ‘구’(口)로 바뀌기도 하는데, ‘고사야홀차’는 ‘장항구’(獐項口)로, ‘요은홀차’(要隱忽次)는 ‘양구’(楊口)로 바뀌었다.

‘곶’은 다른 꼴로 나타나기도 한다. ‘고지’와 ‘구지’는 ‘곶’에 ‘이’가 붙어 된 말이며, 첫소리를 된소리로 내면 ‘꾸지’가 된다. 여수 지역의 ‘송고지·숫구지·일중구지·문꾸지’ 등은 ‘곶’의 이형태가 붙은 땅이름이다. 여기선 ‘곶’ 대신 ‘구미’가 붙은 곳도 제법 발견된다. ‘망구미·온구미’의 ‘구미’도 ‘곶’의 이형태들이다. <난중일기>에 보이는 ‘군영구미·이진구미’ 등도 마찬가지다. 이 말은 ‘굽다’의 이름꼴인 ‘구비’가 ‘구지’에 이어져 생긴 꼴이다. 이 또한 ‘곶’이 ‘구무’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을 높여준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72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27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206
3194 鬱陶項(울돌목) / 공짜 언어 風文 2020.07.05 2114
3193 龜의 독음 바람의종 2012.11.05 8681
3192 가 삘다 file 바람의종 2009.07.22 5760
3191 가(價) 바람의종 2011.11.16 9238
3190 가개·까까이 바람의종 2009.07.22 8277
3189 가검물(可檢物) 바람의종 2010.05.12 9851
3188 가겠소 / 가겠오 바람의종 2009.02.07 7674
3187 가관이다 바람의종 2007.04.28 12822
3186 가까와? 가까워? 바람의종 2008.07.01 7405
3185 가난을 되물림, 대물림, 물림 바람의종 2010.03.30 13250
3184 가늠,가름,갈음 바람의종 2010.03.23 13491
3183 가늠하다, 가름하다, 갈음하다 바람의종 2011.12.30 20329
3182 가능·가성능/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589
3181 가능성이 높다 바람의종 2010.03.04 11694
3180 가능하느냐 / 가능하냐 바람의종 2012.06.01 9863
3179 가능한 / 가능한 한 바람의종 2012.07.16 10392
3178 가능한, 가능한 한 바람의종 2008.11.15 7662
3177 가닥덕대 바람의종 2008.02.03 7479
3176 가댔수? 바람의종 2009.06.29 6807
3175 가던 길 그냥 가든가 風文 2024.02.21 1702
3174 가드랬수 바람의종 2009.07.07 6363
3173 가듯, 갈 듯 바람의종 2009.08.01 1047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