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4 19:36

쐐기풀

조회 수 6551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쐐기풀

‘쐐기’는 풀, 벌레, 물건 이름으로 두루 쓰인다. ‘쐐기풀’은 주로 숲 가장자리에 많이 자라서 시골에서 자란 사람이면 흔히 따끔하게 스쳐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잎이 톱니 모양에다 포기 전체에 가시털이 나 있다. 가시에는 개미산(포름산)이 들어 있어 찔리면 쐐기한테 쏘인 것처럼 아프다. 그런데 독은 독을 이기는 법인지, 쐐기풀은 뱀독 해독제로도 쓰였다. ‘쐐기풀’은 모양과 감각이 두루 반영된 이름이다. ‘쐐기벌레’는 쐐기나방 애벌레로, 몸에 뾰족한 독침이 있어 따갑게 쏘기에 붙여진 이름일 터이다.

‘쐐기’는 물건을 고정시키거나 쪼갤 때 쓰는 쐐기(V)꼴 물건이다. 세계 글자 역사에서는 대체로 현존하는 최고의 문자로 기원전 4000년께 썼다는 메소포타미아의 쐐기문자를 든다. 진흙판에 글자를 새기기 때문에 쐐기같이 뾰족한 도구로, 진흙이 일어나지 않게 쐐기 모양으로 쓸 수밖에 없었는데, 당시 제일 훌륭한 신랑감은 의사도 판사도 아닌 ‘필경사’였다고 한다. 글자를 쓸 수 있는 사람이 지식과 권력의 최상층부인 시대도 있었는데, 최근 20년 사이 없어진 직업이 ‘필경사’와 ‘타자수’라는 얘기는 흥미롭다. ‘서예’는 말 그대로 미술 영역이 되었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23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69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634
3194 개념의 차이, 문화어 風文 2022.06.13 1247
3193 남과 북의 언어, 뉘앙스 차이 風文 2022.06.10 1254
3192 분단 중독증, 잡것의 가치 風文 2022.06.09 1248
3191 속담 순화, 파격과 상식 風文 2022.06.08 1125
3190 비대칭적 반말, 가짜 정보 風文 2022.06.07 1124
3189 대화의 어려움, 칭찬하기 風文 2022.06.02 1424
3188 경평 축구, 말과 동작 風文 2022.06.01 1143
3187 올림픽 담론, 분단의 어휘 風文 2022.05.31 1134
3186 북혐 프레임, 인사시키기 風文 2022.05.30 1223
3185 왜 벌써 절망합니까 - 벤처대부는 나의 소망 風文 2022.05.26 1191
3184 보편적 호칭, 번역 정본 風文 2022.05.26 1404
3183 막장 발언, 연변의 인사말 風文 2022.05.25 1103
3182 왜 벌써 절망합니까 - 훼방만 말아 달라 風文 2022.05.23 1065
3181 날씨와 인사 風文 2022.05.23 1275
3180 과잉 수정 風文 2022.05.23 1255
3179 말과 상거래 風文 2022.05.20 1167
3178 귀순과 의거 관리자 2022.05.20 1003
3177 혼성어 風文 2022.05.18 1394
3176 콩글리시 風文 2022.05.18 1464
3175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미래를 창조하는 미래 風文 2022.05.17 1128
3174 외국어 선택하기 風文 2022.05.17 1021
3173 영어 절대평가 風文 2022.05.17 108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