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0 02:37

어버이

조회 수 7740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어버이

자신을 ‘아버지!’ ‘어머니!’라고 부르는 아들딸을 둔 ‘어미·아비’가 얼마나 될까? 글말로는 흔히 쓰지만, 현실에서는 아이들 말로 ‘엄마!’ ‘아빠!’로 불리고, 그 아들딸들이 어른이 되고서야 ‘아버지·어머니’ 하는 호칭을 이따금 듣는 형편이다. 요즘 들어 아이들 앞에서 자신을, 어른들끼리 이야기할 때도 자신과 상대를 ‘아빠·엄마’로 일컫거나 부르기까지 하는데, 이는 아이말을 따르는 꼴인데다 제 어미·아비를 욕먹이는 셈이 된다.

할아버지·할머니도 ‘할배·할매’가 아이 말, 친근한 말로 쓰인다. 손주 앞에서는 자신을 ‘할아비·할미’라고 하는데, 할아버지·할머니, 할배·할매는 부르는 쪽의 말인 까닭이다. 아비/애비·아범, 어미/에미·어멈, 할아비/할애비·할아범, 할미·할멈을 보면 사람 따라 경우 따라 마땅한 말을 골라 쓰도록 우리말이 갖추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아버지·어머니를 ‘아바쌔·아바씨·아바이·아배·아버니·아버이·아베·아부니·아부씨·아부이·아부재·아부제·아부지·아브이 …/ 어마·어마니·어마씨·어마에·어마이·어매·어머이·어메·어메이·어멤·어무니·어무이·오만·오매·오메·옴마 …’들로 부르는데, 고장이나 집안·사람 따라 조금씩 다른 게 재미있다.

‘아버지·어머니’는 인류 공통어에 가깝기도 해서, 부탄·몽골·중국·스리랑카 등에서도 아빠를 ‘아빠/아버/아바’처럼 말한다. 아람말(옛히브리어)로도 아버지를 ‘아바’로 불렀다는데, 이는 하느님을 일컫기도 한다. 그러고 보면 ‘하느님 아버지’나 ‘어버이 수령’이 그렇게 낯선 표현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71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19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098
3194 정치인의 애칭 風文 2022.02.08 1326
3193 ‘이’와 ‘히’ 風文 2023.05.26 1326
3192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329
3191 삼디가 어때서 風文 2022.02.01 1330
3190 영어 공용어화 風文 2022.05.12 1332
3189 좋은 목소리 / 좋은 발음 風文 2020.05.26 1333
3188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風文 2022.08.06 1334
3187 무술과 글쓰기, 아버지의 글쓰기 風文 2022.09.29 1334
3186 도긴개긴 風文 2023.05.27 1334
3185 돼지껍데기 風文 2023.04.28 1340
3184 남과 북의 협력 風文 2022.04.28 1341
3183 한소끔과 한 움큼 風文 2023.12.28 1341
3182 온나인? 올라인? 風文 2024.03.26 1344
3181 한글의 약점, 가로쓰기 신문 風文 2022.06.24 1347
3180 되묻기도 답변? 風文 2022.02.11 1348
3179 1도 없다, 황교안의 거짓말? 風文 2022.07.17 1349
3178 ‘건강한’ 페미니즘, 몸짓의 언어학 風文 2022.09.24 1350
3177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353
3176 1.25배속 듣기에 사라진 것들 風文 2023.04.18 1353
3175 인쇄된 기억, 하루아침에 風文 2022.08.12 1356
3174 ‘나이’라는 숫자, 친정 언어 風文 2022.07.07 1358
3173 “자식들, 꽃들아, 미안하다, 보고 싶다, 사랑한다, 부디 잘 가라” 風文 2022.12.02 135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