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0 02:35

진고개와 긴고개

조회 수 7544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진고개와 긴고개

얼마 전 독자 한 분이 전화를 주셨다. 그분의 말씀은 서울 중구의 ‘이현’(泥峴)이 ‘진고개’인데, 이 고개 이름은 ‘길다’에서 온 말 아니냐는 말씀이었다. 땅이름 변화 과정에서 우리말의 특성이 반영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박형상 변호사님 말처럼 ‘진고개’는 질척질척한 ‘진흙’(泥) 고개가 아니라 ‘기다랗다’는 ‘긴 고개’에서 온 말이다. 우리말에서 ‘ㄱ’이 ‘ㅈ’으로 변화하는 현상은 전국적으로 나타난다. ‘기름’이 ‘지름’으로, ‘길’이 ‘질’로, ‘깁다’가 ‘집다’ 따위로 소리난다. 전남 장흥의 ‘이동’(泥洞)이 ‘진골, 진골목’으로 불리는 것이나 강원도의 여러 ‘진부령’이 구불구불한 긴 고개를 뜻하는 것은 ‘길다’가 ‘질다’로 바뀌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처럼 사람이 지나는 길이나 고개·섬 등에 ‘길다’가 붙어 형성된 땅이름은 숱하다. 전남 영암의 ‘진섬’은 ‘긴섬’이다. 이 섬은 ‘지네섬’이라고 불린 적도 있는데, ‘길다’의 다른 형태일 뿐이지 동물인 ‘지네’와는 상관이 없다. 작은 마을을 뜻하는 ‘지단말’이나 ‘지뎀말’ 등도 ‘길다’의 고장말인 ‘지다랗다’, ‘지뎀하다’가 붙어 형성된 이름들이다. ‘지다랗다’는 전국적인 분포를 보이는 말이며, ‘지뎀하다’ 또는 ‘지덴하다’는 최학근의 <전라남도방언연구>(1962)에 나타나듯이 전라 방언이다.

이처럼 땅이름의 이형태를 살피면 우리말 땅이름이 한자말로 옮겨지는 과정에서 의미가 엉뚱한 말로 변한 것들이 많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86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42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396
268 가마즁이·언년이 바람의종 2008.06.19 7042
267 가르치다, 가리키다 바람의종 2008.10.01 6789
266 가랭이 / 가랑이 바람의종 2010.08.05 16602
265 가라, 와라 바람의종 2011.11.20 9596
264 가듯, 갈 듯 바람의종 2009.08.01 10474
263 가드랬수 바람의종 2009.07.07 6363
262 가던 길 그냥 가든가 風文 2024.02.21 1702
261 가댔수? 바람의종 2009.06.29 6807
260 가닥덕대 바람의종 2008.02.03 7482
259 가능한, 가능한 한 바람의종 2008.11.15 7662
258 가능한 / 가능한 한 바람의종 2012.07.16 10392
257 가능하느냐 / 가능하냐 바람의종 2012.06.01 9867
256 가능성이 높다 바람의종 2010.03.04 11694
255 가능·가성능/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592
254 가늠하다, 가름하다, 갈음하다 바람의종 2011.12.30 20329
253 가늠,가름,갈음 바람의종 2010.03.23 13491
252 가난을 되물림, 대물림, 물림 바람의종 2010.03.30 13250
251 가까와? 가까워? 바람의종 2008.07.01 7405
250 가관이다 바람의종 2007.04.28 12829
249 가겠소 / 가겠오 바람의종 2009.02.07 7677
248 가검물(可檢物) 바람의종 2010.05.12 9851
247 가개·까까이 바람의종 2009.07.22 827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