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8 01:45

빌레와 바위

조회 수 6994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빌레와 바위

제주의 땅이름 형태는 뭍과 다른 점이 많다. ‘빌레’는 제주말로 ‘너럭바위’를 뜻한다. 남제주 대정 지역의 ‘넙은빌레·빌레못·답단빌레’ 등은 너럭바위에서 나온 이름이다. 이 ‘빌레’의 표준형은 ‘별내’다. 별내는 비탈을 뜻하는 ‘별’에 ‘장소’ 또는 ‘물’을 뜻하는 ‘내’가 합쳐 된 말이다. 제주에서만 ‘빌레’가 나타나 낯선 땅이름처럼 보인다.

땅이름 변화에는 지역에 따른 말소리 차이가 큰 영향을 끼친다. 고개를 뜻하는 ‘모르’나 ‘머르’, 바다 쪽으로 길게 뻗어 나온 뭍을 뜻하는 ‘고지·코지’와 같은 말들도 받침이 없는 형태인데, 이는 제주말의 소리마디에 받침을 잘 안 쓰거나 유성음을 많이 쓰는 경향과도 관련이 있는 듯하다. 그렇기에 제주 방언에는 ‘르·앙·엉’으로 끝나는 명사가 많다. 또 뭍과 교류가 활발하지 못했던 탓에 이 지역 말에는 옛말이 많이 남아 있는 것도 특징이다.

비탈의 ‘별’과 낭떠러지의 ‘낭’이 합쳐져 ‘벼랑’을 이루듯, 비탈진 곳의 바위만을 별도로 ‘빌레’라고 부른 것은 땅이름의 지리적인 특성을 반영하는 셈이다. 제주에서 빌레와 바위는 유의어로 쓰이는데, 바위는 간혹 ‘방구·방귀’로 불리기도 한다. 바위가 많은 마을인 남원읍 신흥리는 ‘방구령’이라고 불렸다. 이 말은 생리현상인 방귀를 연상하게 하므로, 한자 표기에 거북 구를 쓰다가, 아예 신흥리라는 전혀 다른 이름으로 바꿨다. 마을 서남쪽에 앞빌레가 서 있는데도 생소한 땅이름이 만들어지는 원리를 보여준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32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84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812
3194 鬱陶項(울돌목) / 공짜 언어 風文 2020.07.05 2068
3193 龜의 독음 바람의종 2012.11.05 8633
3192 가 삘다 file 바람의종 2009.07.22 5731
3191 가(價) 바람의종 2011.11.16 9201
3190 가개·까까이 바람의종 2009.07.22 8249
3189 가검물(可檢物) 바람의종 2010.05.12 9823
3188 가겠소 / 가겠오 바람의종 2009.02.07 7649
3187 가관이다 바람의종 2007.04.28 12787
3186 가까와? 가까워? 바람의종 2008.07.01 7378
3185 가난을 되물림, 대물림, 물림 바람의종 2010.03.30 13237
3184 가늠,가름,갈음 바람의종 2010.03.23 13458
3183 가늠하다, 가름하다, 갈음하다 바람의종 2011.12.30 20279
3182 가능·가성능/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529
3181 가능성이 높다 바람의종 2010.03.04 11664
3180 가능하느냐 / 가능하냐 바람의종 2012.06.01 9857
3179 가능한 / 가능한 한 바람의종 2012.07.16 10367
3178 가능한, 가능한 한 바람의종 2008.11.15 7623
3177 가닥덕대 바람의종 2008.02.03 7425
3176 가댔수? 바람의종 2009.06.29 6783
3175 가던 길 그냥 가든가 風文 2024.02.21 1547
3174 가드랬수 바람의종 2009.07.07 6335
3173 가듯, 갈 듯 바람의종 2009.08.01 1045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