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5 14:51

가시집

조회 수 7623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시집

'가시집’은 ‘아내의 집’, ‘처가’를 일컫는다. 북녘에서는 ‘가시집’이 처가와 같은 말이고, 한자말인 처가보다는 고유어인 가시집을 쓰도록 권장하고 있다. 반면 남녘에서 ‘가시집’은 ‘처가를 낮잡아 이르는 말’이라 여기고, 일상적으로 잘 쓰이지도 않는다. 남녘에서 잘 쓰이지 않는 까닭은 ‘낮춤’의 뜻이 연상되기 때문일 것이다.

가시집에서 ‘낮춤’의 느낌은 어디에서 나온 것일까? 아마도 ‘가시내, 가시나’의 영향으로 보인다. ‘가시’에서 ‘가시내’가 연상되기 때문일 것이다. ‘가시’는 조선 초에도 쓰이던 말로 ‘아내’를 뜻한다. “처(妻)는 가시라”와 같이 본디는 명사였지만 점차 쓰임이 줄어들어 이제는 앞가지로 쓰인다. 가시집을 ‘처가의 낮은 말’로 본 것은〈큰사전〉(1947년)에서 비롯되었다. 그런데〈조선말 사전〉(1960년)에서 ‘처가를 속되게 이르는 말’로 풀이했다가〈현대조선말사전〉(제2판·1981년)에서는 ‘안해의 친정집’으로 풀이하고 있다. 그사이 북녘에서 인식이 바뀌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안해’는 ‘아내’의 옛말이면서 북녘에서는 ‘문화어’(표준말)로 쓰인다.

‘가시-’가 들어간 남북 지역어를 보면, 중부를 제외한 북부와 남부 지역에서 두루 확인된다. 이런 상황에서 북녘 사전에 ‘가시아버지, 가시어머니’가 있는데 남녘 사전에 없는 것은 ‘가시-’에 대한 남북의 인식 차이를 보여준다.

상황에 따라 ‘가시내, 가시나’도 ‘낮춤’의 뜻 없이 쓰이기도 하므로, 앞가지 ‘가시-’를 살려 써 보면 어떨까?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85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31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272
3194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501
3193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503
3192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504
3191 영어 공용어화 風文 2022.05.12 1504
3190 주권자의 외침 風文 2022.01.13 1506
3189 ‘이’와 ‘히’ 風文 2023.05.26 1508
3188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511
3187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511
3186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511
3185 되묻기도 답변? 風文 2022.02.11 1513
3184 쌤, 일부러 틀린 말 風文 2022.07.01 1513
3183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516
3182 외부인과 내부인 風文 2021.10.31 1519
3181 혁신의 의미, 말과 폭력 風文 2022.06.20 1519
3180 무술과 글쓰기, 아버지의 글쓰기 風文 2022.09.29 1519
3179 삼디가 어때서 風文 2022.02.01 1520
3178 1.25배속 듣기에 사라진 것들 風文 2023.04.18 1520
3177 드라이브 스루 風文 2023.12.05 1522
3176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522
3175 인쇄된 기억, 하루아침에 風文 2022.08.12 1526
3174 공적인 말하기 風文 2021.12.01 1527
3173 풀어쓰기, 오촌 아재 風文 2022.10.08 152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