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04 03:34

한라산과 두무산

조회 수 9525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라산과 두무산 / 허재영

<세종실록지리지>나 <동국여지승람>에는 ‘한라산’의 다른 이름이 ‘두무산’이었다는 기록이 나온다. 이정구의 <사천년문헌통고>에서도 “한라산은 가히 은하수를 더위잡을 수 있으므로 그 이름이 붙었으며, 봉우리가 모두 평평하고 둥근데 연못이 있어 마치 가마솥과 같은 까닭에 부산(釜山)이라 한다”고 했다. 가마를 뜻하는 ‘부’(釜)는 ‘두무’라기도 하는데, 이로 말미암아 한라산은 ‘부산’ 또는 ‘두무산’이라 부르기도 했다. 이처럼 ‘두무’가 든 땅이름은 매우 많다. ‘두무실’, ‘두뭇골’과 같은 마을 이름이 있고, ‘두무개’처럼 고개를 뜻하는 경우도 있다.

‘두무’의 말밑은 ‘둥근’이란 뜻의 ‘둠’이다. ‘돔’ 또는 ‘도마’로도 쓰이는데, ‘돔골’, ‘도마치’에 나타나는 ‘돔’과 ‘도마’가 이에 해당한다. 한라산의 모습이 평평하고 둥글기에 두무산이라고 했듯, 두무실이나 두뭇골은 모두 마을이 평평하고 둥그렇다. 이처럼 둥글고 평평한 뜻을 갖는 다른 이름으로 ‘두류’ 또는 ‘두륜’이 있다. 지리산의 다른 이름인 ‘두류산’이나 해남의 ‘두륜산’은 모두 둥근 모습의 산인 셈이다.

땅이름에 스며든 ‘두류’와 ‘두륜’은 ‘둥근’의 뜻을 갖는 ‘두렷다’에서 온 말이며, ‘두무’는 ‘두르다’의 이름꼴이라 볼 수 있다. 그런데 ‘두무’가 ‘도마’로 쓰이거나 ‘두메’로 쓰이게 되면 그 뜻이 어원과 멀어진 것처럼 생각된다. 그러나 ‘두메산골’도 산간 분지의 마을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두무’가 녹아든 말임을 알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89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41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303
3215 ‘통일’의 반대말 風文 2023.01.16 1685
3214 ‘통장을 부르다’와 ‘시끄럽다’ 바람의종 2010.04.30 12161
3213 ‘파바’와 ‘롯리’ 風文 2023.06.16 1305
3212 ‘팜므파말’ 바람의종 2011.12.22 13338
3211 ‘평어’를 쓰기로 함, 심심하다 風文 2022.11.23 1823
3210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319
3209 ‘하므로’와 ‘함으로’ 바람의종 2009.12.04 9504
3208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람의종 2008.03.16 5473
3207 “김” 風文 2023.03.06 1674
3206 “돈이 남으십니다” 바람의종 2010.10.11 6534
3205 “사겨라” “바꼈어요” 風文 2024.05.31 30
3204 “산따” “고기떡” “왈렌끼” 風文 2024.05.31 26
3203 “영수증 받으실게요” 風文 2024.01.16 1559
3202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風文 2023.12.30 1147
3201 “자식들, 꽃들아, 미안하다, 보고 싶다, 사랑한다, 부디 잘 가라” 風文 2022.12.02 1360
3200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317
3199 ○○노조 風文 2022.12.26 1315
3198 ㄹ는지 바람의종 2010.03.07 8929
3197 ㅂ불규칙 활용 바람의종 2010.04.23 11611
3196 美國 - 米國 / 3M 風文 2020.06.08 1595
3195 良衣·거리쇠 바람의종 2008.06.27 72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