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24 03:28

난친이 바위

조회 수 7205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난친이 바위

땅이름을 연구하는 사람들은 사람들이 사는 지역뿐만 아니라 산이나 강·골짜기·바위 등의 이름에도 많은 관심을 기울인다. 이런 이름 가운데는 사전에서 찾을 수 없는 말들이 다수 발견된다. 강원도 홍천군 동면 좌운리의 ‘난친이 바위’도 이런 이름 가운데 하나다. 이 바위는 마을 앞 산에 절벽처럼 서 있는데 마을 사람들은 이 바위에 난친이가 산다고 믿고 있다.

그런데 ‘난친이’가 어떤 새인지는 구체적으로 밝혀진 바 없다. 우리말 사전이나 동물도감에서도 이 새를 찾을 방법은 없다. 왜냐하면 ‘난친이’는 부엉이나 올빼미처럼 큰 새를 뜻하는 말로만 쓰이기 때문이다. 마을 사람들은 난친이는 낮에 활동하지 않고 밤에 활동한다고 믿는다. 그뿐만 아니라 난친이가 날면 마을에 좋은 일이 생긴다는 믿음도 갖고 있다. 그러면서도 막상 난친이가 나는 모습을 보았다는 이는 없다.

그렇다면 ‘난친이’는 어떤 새일까? 사실 이 말은 ‘나친’ 또는 ‘라친’이라는 몽골어에서 온 말이다. <훈몽자회>에는 ‘나친 왈 아골(鴉?)’이라는 풀이가 나타나며, <역어유해>에서도 ‘아골(큰새)’을 ‘나친이’라고 적고 있다. 또한 이기문 교수는 이 단어의 기원을 토이기어 ‘라진’에서 찾고 있다. 이를 고려할 때 ‘라진’, ‘나친’, ‘난친이’는 모두 ‘큰 새’를 뜻하는 몽골어 기원의 어휘로 고려시대 이후에 들어온 말이라고 할 수 있다. 수백 년 전에 생성된 이름이 오늘날까지도 쓰이는 건 땅이름이 강한 생명력을 지닌 까닭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47942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4427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09332
    read more
  4. 밑과 아래

    Date2008.03.01 By바람의종 Views7486
    Read More
  5. 새라새롭다

    Date2008.02.29 By바람의종 Views9425
    Read More
  6. 동남아 언어

    Date2008.02.29 By바람의종 Views7482
    Read More
  7. 빛깔말

    Date2008.02.28 By바람의종 Views7078
    Read More
  8. 이팝나무

    Date2008.02.27 By바람의종 Views11341
    Read More
  9. 맑다와 밝다

    Date2008.02.27 By바람의종 Views6807
    Read More
  10. 재개비

    Date2008.02.25 By바람의종 Views7092
    Read More
  11. 중국의 언어

    Date2008.02.24 By바람의종 Views10351
    Read More
  12. 난친이 바위

    Date2008.02.24 By바람의종 Views7205
    Read More
  13. 꽃다지

    Date2008.02.23 By바람의종 Views7763
    Read More
  14. 뜰과 마당

    Date2008.02.23 By바람의종 Views7480
    Read More
  15. 누겁다/ 서겁다

    Date2008.02.22 By바람의종 Views7069
    Read More
  16. 오스트로네시아 말겨레

    Date2008.02.22 By바람의종 Views8295
    Read More
  17. 큰 바위

    Date2008.02.22 By바람의종 Views7730
    Read More
  18. 애기똥풀

    Date2008.02.21 By바람의종 Views6084
    Read More
  19. 슬기와 설미

    Date2008.02.21 By바람의종 Views8585
    Read More
  20. 쓰겁다

    Date2008.02.20 By바람의종 Views11044
    Read More
  21. 아메리카 토박이말

    Date2008.02.20 By바람의종 Views7954
    Read More
  22. 엄리대수와 아시

    Date2008.02.20 By바람의종 Views8198
    Read More
  23. 원추리

    Date2008.02.19 By바람의종 Views6176
    Read More
  24. 한글과 우리말

    Date2008.02.19 By바람의종 Views7247
    Read More
  25. 남새

    Date2008.02.18 By바람의종 Views6622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