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20 15:34

엄리대수와 아시

조회 수 8246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엄리대수와 아시

‘호태왕비문’에서, “(추모왕이 하늘의) 시킴을 따라 수레를 몰고 남쪽으로 순행하여 내려오는데, 부여 땅 엄리대수를 지나가게 되었다”라는 기록은 흥미로운 풀이를 하게 한다. 왜냐하면 이 지역은 정확하지는 않으나 안시성의 위치와도 무관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엄리대수’와 ‘안시’는 어떤 관계에 있을까?

이에 대한 흥미로운 해석은 황윤석의 <이재집>에 나타난다. ‘화음방언자의해’에서 황윤석은 신라 옛말에 ‘아시새’, 곧 ‘어시새’가 있다고 하였다. 그가 어떤 자료를 바탕으로 이러한 해석을 했는지는 알 수 없으나, 고려가요 <사모곡>에도 나타나듯이 우리말에서 ‘어시’는 ‘어머니’, 또는 ‘부모’란 뜻을 지닌다. 또한 경남 함안의 옛이름이 ‘아시량’이다.

안시성을 봉황성이라 부른 기록은 여러 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황윤석은 ‘봉황’은 ‘부헝’(부엉이)을 한자음으로 적은 것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이 풀이는 정확하다고 할 수는 없으나, ‘어머니’나 ‘부모’ 또는 ‘크고 평안함’을 뜻하는 토박이말 ‘아시’를 ‘안시’라는 한자음으로 적었다는 설명은 매우 설득적이다. 또한 <삼국사기> 동명성왕 조에서는 이 강의 이름을 ‘엄사수’ 또는 ‘개사수’라고 표현하였다. ‘엄사’는 ‘엄리’보다 ‘어시’에 더 가깝다.

이처럼 ‘엄리대수’와 ‘아시’가 동일계 어휘라고 한다면, 삼국의 언어가 매우 동질적이었음을 확인하게 된다. 비록 고구려와 신라의 정치 세력은 달랐다고 할지라도 우리 조상들의 말은 같은 뿌리를 갖고 있음을 땅이름이 보여주는 셈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66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20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156
3238 말끝이 당신이다, 고급 말싸움법 風文 2022.07.19 1324
3237 경텃절몽구리아들 / 모이 風文 2020.05.24 1325
3236 선정-지정 / 얼룩빼기 황소 風文 2020.05.15 1326
3235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風文 2023.11.14 1326
3234 자막의 질주, 당선자 대 당선인 風文 2022.10.17 1328
3233 대통령과 책방 風文 2023.05.12 1329
3232 자백과 고백 風文 2022.01.12 1334
3231 어떻게 토론할까, 질문 안 할 책임 風文 2022.07.24 1334
3230 돼지의 울음소리, 말 같지 않은 소리 風文 2022.07.20 1335
3229 귀 잡수시다? 風文 2023.11.11 1335
3228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340
3227 말의 적 / 화무십일홍 風文 2023.10.09 1340
3226 말의 평가절하 관리자 2022.01.31 1343
3225 언어적 적폐 風文 2022.02.08 1343
3224 태극 전사들 風文 2022.01.29 1344
3223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345
3222 정치와 은유(2, 3) 風文 2022.10.13 1346
3221 있다가, 이따가 風文 2024.01.03 1346
3220 새말과 소통, 국어공부 성찰 風文 2022.02.13 1347
3219 부동층이 부럽다, 선입견 風文 2022.10.15 1351
3218 유신의 추억 風文 2021.11.15 1354
3217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風文 2022.08.06 13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