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6 14:00

퉁구스 말겨레

조회 수 10715 추천 수 2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퉁구스 말겨레

시베리아의 겨울, 지난 겨울은 무려 영하 40도까지 내려갔다. 그 추운 시베리아에는 넓디넓은 땅만큼이나 여러 겨레가 살고 있으며, 아울러 러시아말과 중국말 사이사이에 여러 언어들이 쓰이고 있다. 그 가운데는 퉁구스 말겨레가 이곳저곳 흩어져 쓰인다. 퉁구스라 하면 우리에게는 만주-퉁구스라는 용어로 잘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말로 어웡키말을 들 수 있다. 러시아 지역 어웡키말은 서쪽으로는 시베리아 예니세이강에서부터 동쪽으로는 오호츠크 해안 지역과 캄차카반도, 그리고 사할린섬에 이르기까지 분포한다. 그러나 넓은 분포 지역에 견줘 이 말을 쓰는 사람은 소수에 불과하여 사라질 위기에 놓인 언어로 분류된다. 현재 어웡키말로 소통을 할 수 있는 사람은 러시아에 만 명쯤, 중국에 천 명쯤 있을 뿐이다. 이 말이 급속도로 러시아말과 중국말로 대체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어웡키말 문법은 우리말 문법과 꽤 비슷하다. 그러나 우리말에는 ‘이/가’처럼 주격조사가 있지만, 어웡키말에는 주격조사가 따로 없다. 그리고 추운 지역이다 보니 눈을 가리키는 낱말이 30가지나 되며, 사슴과 관련된 낱말은 무려 500가지 이상이 되어 자연과 생활이 말 속에 깊이 스며 있음을 볼 수 있다.

시베리아 동북쪽 넓은 지역에 흩어져 있는 어원말도 있고, 그 밖에 나나이·오로촌·우디허 등이 있지만, 모두 사라질 위기에 놓인 안타까운 언어들이다. 그리고 넓게는 만주말·시버말도 이에 든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42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04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022
224 배수진 바람의종 2007.07.08 7170
223 방편 바람의종 2007.07.07 6738
222 박사 바람의종 2007.07.07 7880
221 밀월 바람의종 2007.07.06 8952
220 미인계 바람의종 2007.07.06 7168
219 미망인 바람의종 2007.07.05 6143
218 문외한 바람의종 2007.07.05 8766
217 무진장 바람의종 2007.07.04 7390
216 무녀리 바람의종 2007.07.04 9113
215 목적 바람의종 2007.07.03 6955
214 모순 바람의종 2007.07.03 5790
213 모리배 바람의종 2007.07.02 16565
212 명일 바람의종 2007.07.02 11232
211 면목 바람의종 2007.07.01 8108
210 말세 바람의종 2007.07.01 8676
209 막론 바람의종 2007.06.30 6331
208 등용문 바람의종 2007.06.30 6915
207 동냥 바람의종 2007.06.28 9753
206 동기간 바람의종 2007.06.28 7722
205 도탄 바람의종 2007.06.27 5538
204 도량 바람의종 2007.06.27 6918
203 도구 바람의종 2007.06.26 581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 157 Next
/ 157